![]() |
지난 14일 개최된 포항철강기업 릴레이 현장 간담회. |
산업통상자원부가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철강 산업에 위기를 겪는 경북 포항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 지역을 이날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북도는 지역 철강 산업 업황의 현저한 악화가 우려된다며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 절차에 따라 이 지역이 제출한 신청서를 검토하고 현지 실사, 관계부처·지자체 실무 협의,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지정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따라 포항시는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와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강화된 정책금융 지원을 받게 된다. 정책금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에 만기연장·상환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에서는 협력업체·소상공인에 우대보증 지원프로그램을 출시한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0억원 한도에서 3.71%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도 7천만원 한도에서 2.68%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한다.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비율도 대기업 설비투자의 경우 기존 6%에서 12%로 상향 적용된다. 중소기업 설비투자의 경우 기존 10%에서 25%까지 높아진다.
지역 특성에 맞게 자금·융자 등 금융·재정 지원과 연구개발 및 성과사업화 지원, 고용안정 지원 등 다양한 기업 맞춤형 지원정책도 함께 추진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중소 철강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 및 이차보전 지원 확대와 같은 금융 지원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양성지원 및 기술 자문 컨설팅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철강산업의 구조전환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건의한 사업들에 대해서도 경북도 및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지정은 김정재 의원(포항 북구)과 이상휘 의원(포항 남구·울릉)이 관련 부처를 직접 찾아 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과 포항시의회와 경북도, 지역 주요 철강기업들의 긴밀한 협력, 포항시의 강력한 추진 의지가 하나로 모여 이뤄낸 성과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회와 중앙정부를 수차례 설득하며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 심각성을 알리고 지정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특히 최근 발의된 'K-스틸법'이 조속히 제정·시행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에너지 비용이 철강기업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이라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장치 마련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의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울진과 포항을 잇는 해저 전력망인 '에너지 고속도로' 와 수소에너지 고속도로 배관망 구축 등의 사업 추진 지원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