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제시 청년정책 제2차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 개최<제공=거제시> |
보고회는 정책 분석과 청년 실태를 점검하고 5개년 계획의 방향을 가다듬는 자리로 진행됐다.
거제시는 청년정책위원회와 청년정책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조례 기반의 참여 구조를 갖췄다.
동시에 경남은 2025년 2분기 707명 순유출을 기록했고 20대 순유출률이 가장 높았다.
지역 청년 이동성은 여전히 정책 설계의 핵심 변수다.
조선업 고용은 회복세지만 현장의 인력난은 외국인 채용 확대가 메우는 구조가 뚜렷하다.
산업 호황이 곧 지역 청년 정착으로 직결되지 않는 이유다.
공개된 설명만으로는 연차별 KPI와 재정 투입 구조, 실행 책임 체계가 확인되지 않는다.
계획의 성패를 가르는 지점이 여기서 갈린다.
비교사례로 부산은 '청년 생활인구' 개념을 도입하고 5대 분야에 지표를 연동해 관리한다.
지표와 예산을 한 장의 표로 묶는 방식이 참고된다.
대안은 분명하다.
첫째, 순유출 감소율과 청년 유지율, 청년 주거 점유율, 인턴→정규 전환율 같은 핵심 KPI를 5개년으로 고정해 매년 공개한다.
둘째, 청년네트워크를 '의견 수렴'에서 '의사결정 참여'로 격상해 과제별 공동책임 체계를 둔다.
분기별 정책평가회의에 표결권을 부여한다.
셋째, 조선업 연계 일자리만이 아니라 비조선 분야 창업·콘텐츠·디지털 일자리 비중을 명시하고, 청년 주거·교통 지원을 KPI에 직결한다.
지도는 나왔다. 길은 아직 그려야 한다.
지도가 발걸음을 바꾸려면, 숫자와 예산과 참여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청년이 머문다.
거제=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