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안시의회 제공) |
3일 시의회에 따르면 3월 31일부터 8월 18일까지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 의회 기능과 직무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조직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의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직진단 용역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의회 사무국의 정원은 52명으로 4급 1명, 5급 3명, 6급 9명, 8급 7명, 9급 1명, 나머지 7급 32명 중 13명이 시의원의 의정활동을 보좌하는 정책지원관으로 구성됐다.
이번 용역에서 의회 구성원 80%가 조직에 대한 불만이 매우 많거나 다소 있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존 의회의 인력문제를 집행부(천안시청)의 파견으로 대체해왔지만, 김행금 의장이 인사권 완전 독립을 선언하면서 현재는 단절됐다고 봤다.
산학협력단은 조직 활성화 방안으로 의회와 집행부의 업무연계를 위해 집행부의 파견의 원상복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의회가 요구하던 보건직렬은 50만 이상의 포항시의회만 설치했을 뿐 타 의회에서는 보건 직렬을 배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도일보가 지적한 '천안시의회, 겸직 전문위원 제대로 된 역할분담 필요 <중도일보 2024년 1월 30일 12면 보도>'와 같이 상임위원회에 배치해야 할 전문위원 겸직에 관해서도 잘못됐다고 짚었다.
실제 용역사는 전문위원 1명이 의장 비서실장의 역할을 겸임하고 있어 이는 규정에 어긋나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밖에 현재 조직이 4급 국장과 6급 팀장으로 구성돼, 중간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5급 사무과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의회가 조직운영 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면개편하거나 인사권 완전 독립 철회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천안시의회 관계자는 "본청 인사팀에 정식으로 2번의 파견요청을 했으나, 인력이 부족해 파견해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의회로 전입하고 싶어도 본청에서 사전동의는커녕 소문만 퍼져 당사자가 전입 의사를 밝힐 수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