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동대 현동홀(본관)전경 |
이는 서울대(신입생 7.7%, 재적생 2.2%)는 물론 서울 주요 16개 대학 평균(신입생 11.0%, 재적생 3.7%)을 크게 하회하는 수치로 한동대만의 독특한 교육시스템이 만들어낸 결과로 분석된다.
한동대의 낮은 중도탈락률은 1995년 개교부터 전국 최초로 도입해 30년간 지속해온 자율전공제도와 복수전공을 기본으로 이수하도록 설계된 학사 구조 덕분으로 분석된다.
신입생 전원이 전공 없이 입학해 충분한 탐색 기간을 거친 후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이 시스템은 학생들의 진로 확신도를 높이고 중도탈락률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학년과 전공을 초월한 팀제도와 기숙형 대학(RC) 시스템, 무감독 양심시험, 새내기 섬김이 멘토링 등은 학생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동대는 교육부 글로컬대학30 사업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하며 글로벌 교육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모든 학생은 한 학기 동안 교수와 함께 해외 현장에서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글로벌로테이션 프로그램'을 이수하게 되며 미네르바 대학과의 공동 교육과정도 함께 경험한다.
또 전 세계 313개 대학과의 교류협정을 통한 '불합격 없는 교환학생 제도'는 학생들이 실제 세계 현장에서 창의적 해법을 모색하며 글로벌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통계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서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동대는 기존의 언어 능력 중심 글로벌 교육을 뛰어넘어 복수·연계전공과 팀제도 등 다학제 기반의 전인교육을 통해 실제 세계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신앙과 공동체 정신, 그리고 진로의 유연성을 아우르는 한동대만의 특화된 교육 환경은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높은 교육 만족도를 실현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한동대 재학생 A씨는 "입학 당시 전공을 미리 정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부담스럽기보다는 '진짜 나에게 맞는 길을 찾을 수 있겠다'는 설렘이 더 컸다"며 "1학년 때 폭넓은 기초과목을 수강하면서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었고 여러 전공의 선배들과 팀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정보를 얻으며 진로에 대한 확신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