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안에코파크가 공청회를 개최했지만, 일부 반대 시민들로 인해 파행되는 등 마찰을 빚고 있다.(사진=정철희 기자) |
천안에코파크는 15일 아우내지역문화센터에서 '천안시 수남리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초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날 천안예코파크는 2023년 기준 전국 38개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을 운영되는 가운데 매립 잔량은 2000만여㎥로 연한이 6.5년에 불과하므로, 필수 기반 시설 조성이 필수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안에코파크의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이 전국적인 매립 대란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코파크는 구체적 조성계획도 밝혔다.
주변 환경을 고려해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해 실내 조건으로 매립시설을 운영하고자 매립장 상부에 빗물 유입 및 날림 방지를 위한 에어돔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수 차단으로 침출수, 강우, 눈 등 기상 조건에 의한 영향, 악취, 비산먼지 등 주변 지역 환경 영향 등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세륜·측면살수시설, 살수차량 운영, 부직포 설치, 차량 저속 운행, 차량 덮개 설치 등과 반입 폐기물 감시 등 악취 유발폐기물 반입을 금지해 대기·악취를 저감할 방침이다.
이처럼 환경관리계획 내용을 담은 공청회를 통해 주민 질의응답으로 해결점을 강구할 예정이었지만 일부 반대 시민 등으로 구성된 '동면산업폐기물조성반대시민대책위원회'가 현수막, 피켓, 북, 확성기 등을 활용해 공청회 진행을 방해하며 강하게 반발, 결국 파행됐다.
대책위는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될 환경영향평가서(초안) 부실하고 허위로 작성됐다고 지적하며, 의혹을 해소한 뒤 재개최를 주장했다.
앞서 에코파크는 7월 15일 동면 수남1리마을회관 앞 공터에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지만, 대책위가 반대하며 무산된 바 있다.
찬성 측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가 어떻게 진행됐는지 설명을 먼저 들어봐야 한다"며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주민들이 요구하는 방향으로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다"고 했다.
반대 측 관계자는 "잘못된 환경영향평가로 진행되는 공청회는 있을 수 없다"며 "주민 의견을 먼저 수렴한 환경영향평가서로 공청회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