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장에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는 김철우 보성군수와 관계자들./보성군 제공 |
화재로 인해 종자생산수조 5개 동 중 2개 동이 전소됐으나,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보성·고흥소방서의 합동 대응으로 오후 1시 50분경 잔불 정리까지 완료돼 완전히 진화됐으며 현재 보성경찰서와 보성소방서가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화재가 발생한 배양장은 참꼬막 인공종자를 7월에 최종 출하한 상태로 생물 피해는 없었으며, 가리맛조개 등 다른 종묘를 관리하는 수조는 피해가 없어 정상 가동 중이다.
김철우 군수는 화재 당일 관계 부서와 피해 현황을 점검하며 "참꼬막 인공종자 생산 시설은 벌교꼬막의 멸종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인 만큼, 2026년 종묘 배양 일정과 지역 어업인들의 양식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해야 한다."라며 신속한 복구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해당 시설은 한국지방재정공제회의 재해복구공제에 가입돼 있어, 군은 공제회와 협의해 피해 복구비 산정과 보상 절차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행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구 공사를 속도감 있게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종묘배양장은 참꼬막 인공종자 생산을 위해 국비 54억 원, 군비 26억 원 등 총 80억 원이 투입해 2014년에 준공된 주요 수산 기반 시설로, 지역 수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어업인 소득 증대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보성=이부근 기자 lbk9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