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국립 축산과학원 종축장 부지에 들어설 미래 모빌리티 국가산단에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을 유치, 천안을 인구 100만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K-반도체 벨트'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시·군 방문의 백미는 단국대 천안캠퍼스에서 열린 '충남 AI 대전환 선언'이었다.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 거점 산업 생태계 조성과 스마트 농축수산업 AX 등을 통해 충남의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먹거리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시·군 방문에선 지자체 간 현안 조정과 정부 사업에 대한 이견을 봉합하는 과정도 있었다. 김 지사는 제2경찰학교 후보지인 아산시와 예산군 중 아산시로 단일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청양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비 부담을 둘러싼 이견은 김 지사와 김돈곤 군수가 만나 도비를 일부 지원하는 것으로 매듭지었다. 김 지사는 지방비 부담이 60%에 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이었으나 김 군수와 합의점을 찾았다.
김 지사가 시·군 방문을 통해 수많은 지역 현안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약속했지만 정치권의 협조 없이는 이루기 힘들다. 국가산단 조성 등 기반시설 사업은 재정이, 제2경찰학교·국립 치의학연구원 유치 등은 차별화된 정치력이 관건이다. 충남 전체 11개 지역구 중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8명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김 지사를 비롯한 지자체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원팀'을 이뤄 지혜를 모을 때 충남의 도약과 발전을 기약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