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에 따르면 경남·전북은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 등에 각 1조원, 광주 'AX 밸리 조성' 에 6000억원, 대구 'AX 기반 조성'에 5510억원을 투입한다. AI 기반 산업의 핵심 인프라 등 생태계 구축 사업으로, 지역에 특화된 인공지능 전환을 통해 제품·서비스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해당 지역은 AI 혁신 거점 조성사업이 인구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을 살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후속 대책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AI 혁신 거점 조성 사업은 공모가 아닌 과기부 내부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문제는 정부의 핵심 정책 사업에 유독 충청과 강원만 빠졌다는 점이다. 거점 지역 선정에 영·호남을 안배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는다. 정부출연연 등 연구기관과 기업이 집적된 '과학수도' 대전이 빠진 것은 실망스럽다. 과기부는 내년에 사업을 공모로 전환한다는 입장이지만, 충청권이 'AI 대전환'에 뒤처질 수밖에 없는 여건이 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취임 후 첫 주재한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수도권에서 거리가 멀수록 예산지원 등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정부 기조라면 수도권과 근접한 충청권은 대형 국책사업과 공공기관 이전 등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AI 혁신 거점지역에 충청권이 빠진 것이 예사로 보이지 않는 이유다. 정부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대응 역량과 지역 정치권의 역할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