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교통대 정문. |
대학 측은 잘못된 인용과 서술이 독자에게 오해를 줄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교통대는 먼저 '캠퍼스 총장제'와 관련해 보도에서 언급된 '폐지' 표현은 합의 내용과 명백히 다르다고 밝혔다.
양 대학은 이미 캠퍼스 총장제를 신설·유지하고 역할 정립 및 법제화 추진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최종 합의했으며, 제도 축소나 폐지를 전제로 한 내용은 협의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어문계열 3개 학과(국어국문·영어영문·중어중문) 정원 조정과 관련해서도 '협의 중'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한국교통대는 학생정원 배분 원칙, 교수 이동의 기본 방향, 대체 방안 등 핵심 사항은 이미 양 대학 간 합의가 완료됐으며, 현재 남은 절차는 충북대 내부에서 최종 학과 배정 및 조정안을 확정하는 단계라고 전했다.
또 '총장선출방식 결정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한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공식 합의문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공식 합의문은 초대 총장 선출방식을 양 대학 동수의 위원으로 구성된 '총장추천위원회'로 명시하고 있으며, 별도의 결정위원회 설치는 언급된 바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구성원이 납득할 수 있는 최종안'이라는 표현과 관련해 한국교통대는 이는 구성원 의견을 듣겠다는 취지로 볼 수 있으나, 이미 양 대학 총장이 합의를 완료한 상황에서 자칫 합의가 유동적인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문맥 설명이 부족할 경우 실제 진행 단계와 달리 '합의 미완료'라는 오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교통대 구성원들은 이번 보도 일부가 합의안과 다른 방향으로 전달된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이는 향후 통합 절차와 실행 과정에 혼선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학사 일정과 통합 일정 등 앞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가 많은 만큼, 정확한 사실 전달과 원활한 협의를 위해 지속적인 조정과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홍주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