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문든 단양군수가 ‘외국인 계절근로자’교육에서 격려 하고 있다. |
중소농의 경우 계절근로자를 자체적으로 고용하기 어려워 일손 부족이 반복됐지만, 공공형 모델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단양군은 올해 북단양농협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 8명을 투입해 시범 사업을 운영했다. 시범에 참여한 농가들은 적기 작업이 가능해졌다는 점과 작업 효율이 향상됐다는 점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군은 공동숙소 임차료와 산재보험료의 50%을 지원해 농가 부담을 낮췄고, 이 과정에서 노동력 안정 확보와 생산비 절감 효과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 |
| 단양군는 지난 8월 라오스와의 ‘계절근로자’도입 협약식을 체결 했다. |
근로자의 출국·귀국 인솔과 상시 모니터링은 라오스 노동부가 직접 맡으며, 최저임금 이상 보장과 이탈 방지 관리 체계도 함께 구축된다.
내년부터는 제도 확대를 위한 추진 체계도 강화된다. 단고을조합공동사업법인이 운영 주체로 참여하고, 단양농협·북단양농협·단양소백농협 등 3개 농협과 함께 운영협의체를 꾸려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올해 안에 농협별로 1곳씩, 총 3개소의 근로자 숙소를 확보할 예정이며 내년 2월 사업 안내와 접수를 진행한 뒤 5월에는 라오스에서 온 근로자 60명을 배정한다. 이들은 공공형 30명, 농가형 30명으로 나뉘어 지역 농가에 투입될 예정이다.
김문근 단양군수는 "시범 운영을 통해 공공형 계절근로자 제도의 효과를 확인했다"며 "지역 농협과의 협력, 라오스와의 국제 협업 등을 기반으로 중소농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단양군은 향후 시범 성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확대를 추진해, 지역 농업 경쟁력 강화와 농가 경영 안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정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