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8일 활옥동굴 운영사 ㈜영우자원 이영덕 대표가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현안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홍주표 기자) |
이날 활옥동굴 운영사인 ㈜영우자원 이영덕 대표는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민들에게 사과하며 절차적 미비를 인정하는 한편, 이번 사안이 고의나 불법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제도 부재 속에서 발생한 행정 절차 문제였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폐광 재생과 지하 공간 활용, 동굴관광을 둘러싼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가 문제의 원인이 됐다"며 "시설 안전기준, 행정 절차, 법적 근거를 전면적으로 다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또 관광객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정기적 검증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어 충주시와 산림청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합법적 양성화 절차 마련에 적극 협의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번 사태는 산림청의 강경 조치로 본격화됐다.
중부지방산림청은 앞서 활옥동굴이 국유림 3600㎡를 무단 점유했다고 판단해 6일 행정대집행 영장을 집행하고 현장에 바리케이트를 설치했다.
이 조치로 전체 관람로의 38% 구간이 차단됐으며, 사유지 구간만 관광객 통행이 허용된 상태다.
산림청은 5일 안병기 중부지방산림청장이 현장을 방문해 운영사와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으나, 바로 다음 날 집행이 이뤄져 지역에서는 당혹감이 확산됐다.
운영사는 활옥동굴의 역사성과 관광적 가치를 강조하며 이번 사태가 장기적 손실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했다.
활옥동굴은 고려·조선시대 곱돌 채굴지로 시작해 일제강점기 활석 광산으로 지정됐고, 1970년대에는 아시아 최대 활석 생산지로 충주 산업의 핵심 역할을 해왔다.
2019년 관광지로 개장한 후 지난해 47만 명이 방문한 지역 대표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다.
현재 인근 상인, 시민, 사회단체들은 '활옥동굴 양성화 촉구 및 생존권 보호' 서명운동을 벌이며 조속한 해결을 요구하고 있다.
관람 차단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지역경제와 상권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 대표는 "활옥동굴이 다시 한번 충주시민의 자부심이자 충주의 자랑거리가 될 수 있도록 충주시민의 따뜻한 관심과 협력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홍주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