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주시청 임시청사 |
이와 함께 공예관 유리공예 특별전과 공예스튜디오 입주작가전 개막식까지 진행해 '공예도시 청주'의 비전과 지속가능성을 알린다.
선포식은 청주시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 최종 선정을 기념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그 권위와 위상을 인정받은 청주의 새로운 도시 비전을 시민과 공유하고 국제 창의도시로서의 도약 의지를 선언하는 자리다.
선포식에서는 역동적인 춤부터 감동의 하모니까지 다양한 축하공연을 비롯해 △'창의리더 100' 위촉식 △비전 선포 퍼포먼스 등이 진행된다.
창의리더 100은 공예계는 물론 문화예술과 교육, 산업경제계와 언론까지 우리 사회 전분야를 망라해 유네스코 공예 창의도시 청주의 비전을 함께 실현해 갈 100인이다. 이날 위촉된 창의리더는 앞으로 지속가능한 창의도시 청주를 위한 자문과 시민 인식 확산, 국내외 네트워크 확대 등에 힘을 보태게 된다.
위촉식에 이어 행사 참여자 전원이 함께할 비전 선포 퍼포먼스도 백미다. 이날 첫 공개되는 선언문의 공동 낭독이 진행되고, 지역 공예작가들이 제작한 '창의트리'에 저마다의 지속가능 메시지를 담은 매듭을 걸며 한 그루의 나무를 완성한다.
선포식에 이어 당일 오후 3시에는 문화제조창 본관 3층 갤러리6 앞에서 공예관의 유리공예특별전 '유리;시 Glass: Poetry, Time, Place'와 공예스튜디오 입주작가전 '온기: 겹쳐지고 흩어지는' 개막식이 동시 진행된다.
청주가 유네스코 공예 창의도시로서 선보이는 첫 기획전으로 공예도시 청주의 정체성과 축적된 창작 역량을 조망하는 기회라는 점에서 뜻깊다.
유리공예특별전 '유리;시 Glass: Poetry, Time, Place'는 다양한 예술성을 지닌 작가들의 손끝에서 투명하고도 단단하게 수많은 이야기를 지어 온 '유리'에 주목한다.
세계를 무대로 활동 중인 지역의 작가들을 비롯해 한국 유리공예 1세대 거장과 청주공예비엔날레를 통해 만났던 정상급 해외작가들까지, 국내외 스물여덟 작가·팀이 참여하는 이번 전시는 마음을 투영하는 유려하고 감성적인 재료인 유리로 동시대(Time) 공예의 흐름을 주도한다.
전시는 △유리; 일상을 짓다 △유리; 시간을 흐르다 △유리; 도시를 머금다 3개 파트로 구성된다. 컵·접시·화병 등 개인의 취향과 감각이 스민 일상의 기물부터 유리에 대한 끊임없는 실험과 탐구가 담긴 조형적 작품, 유리에 비친 도시의 내일을 엿볼 수 있는 작품까지, 이 시대 유리가 추구하는 최상의 미학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전시 연계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12월 3일에는 한국 유리공예 1세다 거장 김기라 작가와 ㈜식기장·갤러리 완물 정소영 대표의 강연이 열리며, 12월 19일과 20일에는 유리 지비츠&키링 만들기 체험이 진행된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되며 공예관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함께 열리는 전시 '온기: 겹쳐지고 흩어지는'은 2025년 공예관 공예스튜디오에서 창작 활동을 이어온 15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대한민국 칠기 명장 김성호 작가와 '2025 메종&오브제 라이징 탤런트 어워즈'에 선정된 섬유작가 인영혜를 비롯해 금속·도자·섬유·옻칠·유리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공예를 공통분모로 한 해 동안 쌓아온 시간과 교류의 흔적을 선보인다.
두 전시는 각각 문화제조창 본관 3층 갤러리 6과 갤러리 5에서 진행되며 '유리;시'는 내년 1월 25일까지, '온기: 겹쳐지고 흩어지는'은 오는 12월 21일까지 이어진다.
12월 2일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청주 비전 선포식과 공예관 전시 개막식 모두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은 청주시의 국제적 위상을 한 단계 도약하게 만든 중요한 발판"이라며 "비전 선포식과 특별전을 통해 유네스코 창의도시 청주가 공예를 통해 이뤄가고자 하는 꿈과 비전, 무한한 가능성을 가늠해 보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청주=엄재천 기자 jc00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엄재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