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속 '작은 한국' 클락(Clark)

필리핀 속 '작은 한국' 클락(Clark)

  • 승인 2013-08-21 14:42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 필리핀 클락에 형성돼 있는 코리아타운. 100여개에 달하는 식당, 노래방, 빵집 등이 즐비하다.
▲ 필리핀 클락에 형성돼 있는 코리아타운. 100여개에 달하는 식당, 노래방, 빵집 등이 즐비하다.

필리핀 클락은 경제특구다.

원래 미군 부대가 있었던 지역인데 부대 철수 이후 외국 자본을 활발히 유치하고 있다고 한다. 클락은 또 필리핀 속 ‘작은 한국’이나 다름없다.

클락과 인근 도시인 앙헬레스에 나오면 거리를 활보하는 반가운 ‘동포’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현지 교민사회에 따르면 클락과 앙헬레스 거주자와 관광객을 포함해 한국인이 2만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이곳에는 한국 상인 밀집 지역인 ‘코리아 타운’도 형성돼 있다.약 100개에 달하는 한국 음식점과, 노래방, 빵집 등이 즐비하다.

점포 간판 가운데에는 ‘청와대’, ‘광안리’, ‘군산식당’과 같은 눈에 익은 것도 눈에 띈다.대식가들이 쾌재를 부를 수 있는 ‘24시간 야식’도 성업 중이다.

▲ 필리핀 클락 코리아타운 내 식당의 메뉴판. 김치찌개, 된장찌개, 삼겹살 등 한국 음식이 즐비하다. 한국 관광객은 물론 현지인들로 한국 음식을 즐겨 먹는다. 다만, 필리핀인이 조리를 하기 때문에 개운한 맛은 약간 떨어진다.
<br />
▲ 필리핀 클락 코리아타운 내 식당의 메뉴판. 김치찌개, 된장찌개, 삼겹살 등 한국 음식이 즐비하다. 한국 관광객은 물론 현지인들로 한국 음식을 즐겨 먹는다. 다만, 필리핀인이 조리를 하기 때문에 개운한 맛은 약간 떨어진다.

식당 안 메뉴판에는 비빔밥, 김치찌개, 된장찌개, 삽겹살, 돼지갈비와 같은 음식이 관광객과 현지인의 입맛을 유혹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 느낄 수 있는 ‘얼큰한 맛’은 다소 떨어진다는 느낌이다.필리핀에서는 아무리 외국인 음식점이라고 해도 자국민이 조리를 하게 돼 있기 때문이다.한국 음식일지라도 필리핀인이 조리하다 보니 한국인들의 입맛을 만족시키에는 2% 부족한 것 같다.

한국인이 많은 곳이어서 그럴까.현지 토속 음식도 한국인 입맛에 제법 들어맞는다.필리핀은 닭과 돼지 등 육류가 풍성하다.그만큼 고기 요리가 많다.

▲ 필리핀 현지인들이 즐겨먹는 닭다리 바베큐. 토속음식이지만 한국 양념치킨과 같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 한국인들의 입맛에 그만이다.
<br />
▲ 필리핀 현지인들이 즐겨먹는 닭다리 바베큐. 토속음식이지만 한국 양념치킨과 같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 한국인들의 입맛에 그만이다.

특히 닭다리 위에 양념치킨 소스를 얹은 ‘닭다리 바비큐’와 맑은 국물에 돼지고기가 들어간 한국 갈비탕과 흡사한 ‘불난로’는 인기 만점의 상품이다.한국 관광객과 이민자들은 이같은 음식을 즐겨먹는다고 한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3.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