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마스크 이야기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마스크 이야기

김대경 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 승인 2024-01-11 17:20
  • 신문게재 2024-01-12 1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대경 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세상보기)
김대경 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지하철 안에서 겪은 일이었다. 맞은 편 자리에 앉은 여성 한 분이 계속해서 코를 훌쩍이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비강 내 점막이 어떤 이유로든 과하게 자극되면 콧물 분비가 증가한다. 이는 신체의 자연스러운 방어기전이다.

겨울철에는 호흡기로 들어오는 찬 공기를 데우기 위해 비강 내 혈류가 늘어나며 콧물 생성이 증가한다. 자극을 주는 미세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콧물이 발생한다. 이런 환경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콧물은 대개 일시적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자극이 줄며 자연스레 멈춘다.

이와 달리 알레르기성 체질인 경우에는 작은 자극으로 인해 다량의 콧물이 지속해서 나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예방적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겨울철 콧물 발생의 주요 원인은 상기도 감염이다.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상기도 감염을 바로 '감기'이다. 감기의 가장 흔한 원인은 라이노 바이러스(rhinovirus) 이다. 코를 의미하는 '라이노'라는 접두어가 시사하듯이 이 바이러스는 비강과 인후 점막을 주요 활동 무대로 하여 관련 증상을 발생시킨다.

가만히 살펴보니 콧물을 훌쩍이던 여성은 간간이 기침도 하고 있었다. 상황을 종합할 때 잠정 진단은 감기일 가능성이 높았다. 문제는 그 여성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다. 주변을 둘러보니 마스크를 쓴 사람은 채 절반이 되지 않았다.



일상적인 호흡으로 나오는 비말은 주위 2m 이내에 떨어지지만, 기침 시에는 3~5m 정도까지 퍼질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생체 외부에서 스스로 이동하지 못한다. 비말이나 에어로졸에 포함되어 공기 흐름을 타고 이동하다가 생체 조직의 점막에 안착해야 비로소 생존과 번식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할 수 있다.

마스크는 물리적인 방어막을 형성하여 바이러스의 접근을 줄여준다. 마스크에 장착된 필터 종류에 따라 입자를 걸러내는 능력이 차이가 있는데, KF94 마스크의 경우 평균 0.4 마이크로미터 입자를 94%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마스크의 호흡기 감염 예방 위력과 유용성은 증명된 바 있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팬데믹 기간 중 감기 환자가 그 전의 같은 시기에 비해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마스크의 차단 효과는 감염원에 해당하는 사람이 착용했을 때 가장 큰 효율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마스크를 쓰지 않은 같은 칸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그 여성은 당연히 마스크를 써야 했다.

지난해 5월 정부 차원의 코로나19 종식 선언이 있었다.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팬데믹 후 '일상 회복'을 위한 방역 완화 조치들이 실행되고 있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두 가지는 사회적 거리 두기와 마스크 착용 의무의 단계적 폐지였다. 실외의 경우 2022년 9월에 이미 해제되었고, 공식적인 종식 선언과 함께 드디어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것이다. 사실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 폐지 이후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많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어쨌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는 많은 국민이 불편을 느끼며 답답해하던 부분을 시원하게 해결해 준 조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착용 의무가 남아 있는 곳이 있다. 바로 필자의 일터인 병원이다. 종식 선언 이후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발표한 2023년 6월 1일 자 '마스크 착용 방역 지침 준수 명령 및 과태료 부과 업무 안내서'에 의하면, 감염 취약 시설 중 입소형 시설 및 병원급 의료기관의 실내는 착용 명령 적용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유난히 더웠던 지난 여름, KF94 마스크를 쓴 채 병원 생활을 하는 것은 무척이나 불편한 일이었다. 하지만 감염에 취약한 환자들이 많은 특성을 생각하면 병원에서의 마스크 착용은 지속되는 것이 타당하다. 아니, 병원뿐만 아니라 근접 위치에서 많은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어야 하는 직종에 있는 분들은 마스크를 쓰는 것이 필요하다. 감염자와 비감염자 사이에서 본의 아니게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겪는 약간의 불편으로 나와 내 주변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면 그 불편은 기꺼이 감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3.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 교원들 "출결 민원 끊이지 않아"
  1. 대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이장우 "법 어길 수 없다" 중앙로 지하상가 강경입장
  2. 감스트,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서 팬사인회… 인파 몰려 인기실감
  3. 민주평통 유성구협의회, 백두산 현장견학…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서"
  4. 세종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건립안 확정...2027년 완공
  5. [사설] 불법 홀덤펍, 지역에 발붙여선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