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승규 문화교육팀장 |
학생들에게 있어 신학기는 자신을 설계하는 꿈이다. 훗날 자신을 되돌아보는 추억이기도 하다.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이는 더욱 분명해진다. 적어도 예전에는 그래왔다.
하지만 오늘날 학생들에게 있어 신학기는 어떤 모습일까. 한마디로 '끔찍'이란 단어말고 뭐가 생각날까 싶다.
꿈과 이상을 설계하는 자기자신은 온데간데 없고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로봇만 있을 뿐이다. 일찍이 사회와 세상살이에 대한 획일적 주문에 내몰리며 무한경쟁의 서막에 자신의 이름을 올린다. 주인공이 될 지 조연이 될 지 자신의 의지와는 별개로 그저 만들어지는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머뭇머뭇 막연히 학교가기가 두려워 아침마다 늑장을 부려보는 초등입학생도 예외는 아니다. 부모들의 손에 이끌려 교문을 들어서지만 수줍은 아이는 금세 울먹울먹 자꾸만 뒤를 돌아보며 엄마의 배웅을 끝까지 놓치지 않으려고 몸부림쳐봐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일부 계층이겠지만 미리부터 스펙을 쌓기 위한 몸부림만 있을 뿐이다. 부모들의 손에 이끌려 온 아이들은 입학과 동시에 졸업때까지 부모가 이미 짜놓은 일정표대로 움직이기만 하면된다. 더불어 학부모는 우리아이가 경쟁사회에서 1등으로 살아남기 위한 묘책(?)이라면 못할 것도 없다.
설령 상식을 벗어나 손가락질을 모질게 당해도 개의치 않을 준비가 돼있다. 물론 적당히 불ㆍ탈법을 비웃어 줄만한 여유는 기본사양이리라. 실제 자녀교육을 위한 불·탈법은 관대하기 이를 데 없다. 자녀교육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면 더이상 죄도 아님을 우리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행해왔던 경우에서 수없이 봐오지 않았는가.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를 어떻게 이해를 했는지 모르겠지만 미리부터 정해논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살지도 않으면서 가짜 주소지를 만들어 놓는 것은 대수도 아니다.
심지어 배정을 받아놓고 학교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사를 가는 것쯤은 부모로서 당연한 도리다.
목적지가 어딘 지도 모르고 오로지 1등만을 위한 맹모삼천지교. 이게 오늘날의 신학기 모습이라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각급 학교에 갓 입학한 새내기들은 꿈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설렘으로 가득차야 할 시기다. 어른들이 나서서 아이들의 눈높이를 조종할 것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꿈을 그릴 수 있어야 하는 그런 시기다.
초등입학생은 처음으로 혼자가 아닌 여럿, 친구들과 어울리는 법을 배우는 등 학교에 대한 재미를 한층 알아가면서 해맑은 동심을 키워나가면 된다. 중학교로 진학하는 새내기는 고교진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 지를 스스로 판단력을 키우면서 새로운 기대를 부풀림과 동시에 책임감을 다져야 한다.
그리고 흔히 어른들이 말하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인 고교에서의 신입생은 어느 때보다 자기관리에 힘써야 한다. 신학기에 방향을 똑바로 잡지 못하면 그만큼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입학을 준비하는 심적부담으로 학업에 대한 압박감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과연 내가 어디로 가는 건지, 내가 선택한 길이 맞는지 설렘보다는 두려움으로 다가오면서 불안하기 짝이 없다. 불안감을 없애려면 당연히 뚜렷한 목적지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목적지를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히 나아가는 게 중요하다.
대학새내기 역시 예외일 수 없다. 고교 3년 동안 대학입학을 위해 모든 역량을 쏟으면서 노력한 결과를 한 순간 망각하면서 학기초 넘쳐나는 시간을 주체하지 못하고 고교시절의 해방감에 젖어 술과 노래, 춤이 전부인양 시간을 허비한다면 그 만큼 뒤처질 수밖에 없다.
새내기들의 야무진 꿈이 시작되는 신학기다.
목적지가 어딘 지도 모르고 무조건 내달리기보다 목적지가 어딘 지를 분명히 알고 계획을 세우는 신학기이길 간절히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