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청산가리 살인' 24일 선고

  • 사회/교육
  • 법원/검찰

보령 '청산가리 살인' 24일 선고

대전고법, 검찰·변호인 결심 최후변론 청취… 판결 주목

  • 승인 2011-03-15 17:42
  • 신문게재 2011-03-16 5면
  • 박종명 기자박종명 기자
대법원으로부터 파기환송된 이른바 보령 '청산가리' 사건에 대한 선고공판이 오는 24일 열릴 예정이어서 재판부의 판단이 주목되고 있다.

대전고법 제2형사부(재판장 신귀섭 부장판사)는 15일 이모(73) 피고인에 대한 파기환송심 공판에서 지난 7일 경기도 안산 모 공장의 청산가리 보관장소 및 보관상태 등에 대한 현장검증 결과를 확인하고 검찰과 변호인 등의 결심 및 최후변론 등을 청취했다.

검찰은 이날 “국과수 감정결과 (청산가리를) 수년 동안 자연상태로 두어도 독성이 유지되고, 서울대법의학연구소의 부검서에도 먹거나 마시거나 청산염에 의한 중독으로 인한 사망임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검찰은 이어 “청산염을 입수했던 점, 관련자를 회유한 점, 캡슐이 발견된 점, 자필 메모지를 부인하며 범행을 뉘우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사형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변호인은 최후변론을 통해 “대법원 파기환송의 핵심은 의혹의 해소인데 증인들의 진술에 비춰보면 의구심이 오히려 증폭됐다”며 “증인을 통해 새롭게 등장하는 청산가리의 신빙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필적은 유전자감식이나 지문과 달리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전문가마다 다른데 이를 증거로 채택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피고인이 범인이라면 캡슐을 보관할 이유가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씨는 최후진술을 통해 “유족의 한 사람이자 용의선상에 올라 수사를 받았다는 자체가 부끄럽다”며 “살인 누명을 쓰고 2년 가까이 피고로 있는 억울한 일이 없도록 현명한 판결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선고공판은 24일 오전 9시 50분 대전지법 316호 법정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편 이씨는 2009년 자신의 처와 이웃주민 등 3명을 청산가리로 숨지게 한 혐의(살인 등)로 구속기소돼 1심에서 무기징역, 2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자 대법원에 상고했다.

대법원 제3부는 “형사재판에서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증거에 의해야 한다”며 원심을 파기하고 대전고법으로 되돌려 보내 대전고법 제2형사부가 그동안 심리를 진행해왔다. /박종명 기자 cmpark6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1.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2.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3.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4.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5.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