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본부가 일본 대지진 직후 설치한 '피해 중소기업 지원 대책반'에는 지난 15일까지 8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센다이 등 지진 직접 피해 지역에 제품을 수출하는 대전과 천안의 업체는 현지 바이어와 연락이 두절된 상태이고, 일본 기업으로부터 전체 수입물량의 절반가량을 의존해 온 대덕특구의 한 업체도 향후 거래가 불투명한 상황에 몰렸다. 이들 업체 중엔 수출 제품의 대금 결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아 심각한 타격을 걱정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더 큰 문제는 일본에서 강도 높은 여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등 일본 산업계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단기간 내에 일본 경제 정상화가 어렵다는 걸 뜻한다. 그만큼 지역 중소기업의 피해가 늘어날 게 불 보듯 뻔하다. 대전시와 충남도도 정부 못지않게 지진이 지역 경제에 몰고 올 파장에 대해 대비방안을 세우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추가 피해와 수출 감소, 여기에 막대한 금융피해까지 겹칠 수 있는 상황이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지역 기업들의 피해를 파악한 뒤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역 중소기업중앙회도 실태조사에 나서는 한편 정부와 유관기관 간 지원방안을 마련 중이다. 정확한 피해 조사는 마땅히 해야 하겠지만 조사 때문에 지원이 너무 늦어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피해 기업이 위기를 맞고 난 뒤에는 '백약이 무효'다. 지금으로선 가능한 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다.
물가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생태, 갈치, 멍게 등 수산물 값이 크게 오르면서 '피시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에선 방사능 오염을 우려해 일본산 농수산물 수입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는 물론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정부의 손이 미치지 못할 경우 지방정부의 선제적 대응도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