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 그들도 가장이다

  • 사회/교육
  • 노동/노사

비정규직 근로자, 그들도 가장이다

이은만씨 충남대서 9년째 '치우고 닦고' 고단한 하루 지난해 떼인급여 못받아, 학교측이 나서줬으면…

  • 승인 2012-04-30 18:21
  • 신문게재 2012-05-01 5면
  • 이종섭 기자이종섭 기자
●오늘 근로자의 날… 어느 비정규직 노동자의 이야기

30일 오전 6시 30분, 충남대 경상대학에서 만난 청소용역노동자 이은만(63)씨의 손놀림이 분주해진다.

올해로 9년째 이 대학에서 청소일을 하고 있는 이씨는 보통 동료들보다 30분 일찍 출근해 일을 시작한다. 이른 시각, 아직은 정적이 감도는 캠퍼스에서 어김없이 이씨의 하루 일과가 시작된다.

▲ 충남대 청소용역노동자 이은만씨의 하루는 건물외곽 청소로 시작된다.
▲ 충남대 청소용역노동자 이은만씨의 하루는 건물외곽 청소로 시작된다.
이 대학에서는 150여 명의 청소용역노동자들이 각자 구역을 나눠 맡아 일하고 있다. 이씨는 5명의 '청소아줌마'들과 함께 경상대학을 맡아 작업반장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성노동자들은 주로 강의실 내부 등을 청소하고, 이씨는 건물 외곽 청소를 도맡아 하고 있다. 학생들의 등교 시간 무렵, 이씨의 움직임이 빨라진다.

“학생들이 오기 전에 눈에 띄는 곳은 빨리 정리를 해놔야 해요. 이 시간이 하루 중 가장 바쁜 시간이기도 하죠.” 그렇게 이씨가 오전 일과를 마친 시각은 대략 11시께. 이른 아침부터 4시간 넘게 쉬지 않고 일해야 오전 일과를 마칠 수 있다.

잠시 숨을 돌린 이씨가 늦은 아침인 지, 이른 점심인 지 모를 끼니를 때우러 학생회관으로 향한다. 학생식당에서 2500원짜리 식사로 끼니를 때우고 이씨가 향한 곳은 쪽방을 연상케하는 당직실 한켠의 공간. 잠시 발을 뻗고 휴식을 취하는 장소다.

이씨가 나지막히 말문을 연다.

“새벽에 나오다보니 아침은 대부분 거르고 점심 값이 아까워 도시락이나 라면으로 한끼를 때우는 사람들도 많아요. 몇 푼 안되는 돈 받아서 몇 식구가 먹고사는데 매일 점심 사먹고 나면 남는 돈이나 있겄수.”

점심 식사 후 잠시 휴식을 취하고 나면 다시 3시간 가량 건물 전체를 청소하고, 오후 5시가 돼서야 이씨는 일터를 나선다.

이씨가 이렇게 한 달을 일하고 버는 돈은 100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 이 돈으로 모두 네 식구가 한 달 생활을 꾸려가야 한다. 큰 아들이 아르바이트로 돈을 보태고 있지만 용돈 벌이에 지나지 않는다.

“그나마 나는 예전에 조금이라도 모아둔 돈이 있어 생활하고 있지, 이 돈 받아가지고는 도저히 생활을 할 수 없어. 아들 녀석들 장가도 보내야 하는데 그런거 생각하면 막막해….”

잠시 뒤 함께 일하는 청소노동자 몇몇이 이씨를 찾아왔다. 이들은 지난해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매년 용역업체와 재계약을 해야 하는 비정규노동자인 이 대학 청소노동자 80%가량이 노조에 가입돼 있다.

지난 연말 이들이 고용돼 있던 용역업체의 부도로 한달 치 월급과 퇴직금을 받지 못한 이후 이들의 신세한탄이 늘었다.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월급 100만원 이하의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한달 치 월급과 일년 치 퇴직금은 적지 않은 돈이다.

지난 3월 새 용역 업체가 들어왔지만 아직 정식 근로계약이나 임금 협상을 체결하지 못했으며, 떼인 월급과 퇴직금은 어디서 받아야 할 지 아직도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함께 일하는 최모(57)씨는 “학교 측에서는 퇴직금을 승계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했지만 새로운 용역업체는 아직 아무런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학교에서도 평소에는 한 식구내 뭐내 하지만 정작 일이 생기면 회사측에 모든 것을 떠넘기고 만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덕구 명예구청장협의회, 민주당 현수막에 반발…"구청장 음해 중단하라"
  2. 세종시, 새 정부와 '행정수도 완성' 44개 국정과제 추진
  3. 대전교육청 지방공무원 정기인사, 우창영 평생학습관장·최현주 기획국장
  4. [시작된 장마, 준비는?] 이상기후에 밤낮없는 대전기상청…주민 안전도 지킨다
  5.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1. 배재장학재단, 배재대 학생 15명에 장학금 1500만원 전달
  2. 대전대 인근 대학로에 '오상욱 거리' 조성… 동구 26일 선포식
  3.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4. 코레일, 폭염 대비 서해선 현장 안전 점검
  5. 아빠들의 신나고 즐거운 육아동행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해수부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이재명 정부가 집권 초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하는 부적절한 처사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하게 밝혔다. 중도일보가 해수부 탈(脫) 세종을 막기 위해 충청권 시도 공조가 시급하다고 보도(6월 12일자 1면)한 뒤 전격 회동한 자리에서 해수부 사수 의지를 다진 것이다. 충청 시도지사들은 또 야당 일각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경남 사천 이전 시도에 대해서도 정부의 공식 입장이 없지만 향후 강력하게 대응키로 했다. 지역 성장동력 양대 축인 세종 행정수도와..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17일 오전 최초 진동이 감지된 특수학교 대전가원학교에 대해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이 이뤄진다. 당초 대전교육청이 자체 조사로 진동 원인을 찾으려 했으나 추가 진동이 감지되고 구성원 불안감이 커지면서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19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하루 뒤인 20일부터 학교 왼편 전체 층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다. 이 기간 학교는 정상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17일 처음 진동이 감지된 쪽이다. 가원학교는 앞서 2024년 9월부터 10월 말까지 한 차례 이 공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바 있다. 2025년 2..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정부가 침체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한다. 특히 건설 경기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미분양 주택 문제 해결을 정부 차원에서의 환매조건부 매입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이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 지방 도시에서 심화하는 건설 경기 침체 현상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2조 7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미분양 주택 환매,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착공, 중소 건설사 유동성 지원 등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