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고교생 90% “안전교육 필요”

  • 사람들
  • 뉴스

대전 고교생 90% “안전교육 필요”

사고시 응급처치 미흡… 동구서·유성구 전학 최다

  • 승인 2013-01-06 15:47
  • 신문게재 2013-01-07 6면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시민참여연구센터 보고서

대전지역 고교 재학생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많이 인식하고 있으나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시민참여연구센터의 2012 청소년연구조사 활동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4개 고교 재학생(1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교에서 수업시간 혹은 각종 특별활동 시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안전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있다'가 70%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수업시간 혹은 각종 특별활동 시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90%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재 재학중인 학교 혹은 과거에 다녔던 중학교에서 친구가 다치거나 사고를 당한 것을 본 경험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40%가 '있다' 60%가 '없다'고 답했으며 '사고를 당한 친구에게 응급처치를 실행했던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20%가 '있다' 80%가 '없다'고 답했다.

학교에서 응급처치법 교육이 있다면 가장 먼저 배우고 싶은 방법으로는 가장 많은 55%가 심폐소생술을 꼽았다.

또한 대전 4개 고교의 보건실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10월 보건실 이용은 총 6636건. 그 중 남학교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발목부상 등의 근골격계 질환이 36.4%, 여학교는 정신신경계(생리통·두통)가 46.1%로 가장 많았다.

남녀공학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피부피하계, 즉 손가락을 칼에 베임 등의 사고가 23%로 가장 많았다.

특히 전체 6636건 중 '기타·상담 등'이 1255건(남학생 22%, 여학생 17.1%)에 달해 학교생활 및 학업 등의 문제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요인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대전지역 동-서간 학교교육격차와 관련해 대전지역 4개 고교 재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지역간 교육격차'에 대해 '안다'고 답했으며 '관심없다' 20%, '모른다' 15%를 차지했다.

'전학을 온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동구에서 서구나 유성구로' 전학이 70%를 차지한 반면 '서구나 유성구에서 동구로' 전학은 30%로 적었다. 학원 수강은 어느 지역에서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동구나 대덕구에 사는 학생 중에서도 서구로 학원을 다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의화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1. ‘선배님들 수능 대박’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4.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