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생 넘쳐나는데… 지역 중소기업은 구인난

  • 사회/교육
  • 노동/노사

졸업생 넘쳐나는데… 지역 중소기업은 구인난

지역기업-구직자 수급 불균형 현상 반복…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 대책마련 시급

  • 승인 2014-12-14 16:34
  • 신문게재 2014-12-15 6면
  • 박전규 기자박전규 기자
<속보>=졸업 시즌이 성큼 다가오면서 지역 청년실업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은 구인난을 호소하고 있다. <본보 12월 12일자 1면 보도>

청년층 구직자들이 지역 기업들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지역기업과 청년 구직자 미스매치 완화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14일 지역 경제계 및 중소기업 등에 따르면 장기적인 경기침체 등으로 지역 고용시장이 좀처럼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실업자의 구직난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실제 대전지역 중소제조업체 경영자들은 대부분 매년 신입사원 채용시 구인난을 겪는다고 말한다. 회사가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젊은 직원을 채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기업 경영자들은 “지역에서 젊은 직원을 채용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면서 “직원을 채용해도 일을 배울만 하면 다른 직장을 구해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대덕밸리 내 벤처기업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한 벤처기업 인사담당자는 “지방에 있는 중소기업이 수도권 대기업에 비해 급여가 적다는게 젊은 구직자들이 외면하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라며 “무엇보다 구직자들의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구직자들이 영세한 중소기업을 외면하는 지역 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대전산업단지 한 중소기업 대표는 “경기불황으로 지역 청년층 실업자들은 계속 늘고 있지만, 지역 중소기업은 직원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청년층 구직자와 기업 사이의 수급 불균형(미스매치)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며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촉구했다.

전문가들도 청년층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해 기업과 구직자간 미스매치 해소를 통해 청년고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기곤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역 청년층의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인력관리공단 혹은 일자리센터 등의 도입이 시급하다”면서 “청년층의 취업을 알선하는 고용지원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대전시 일자리추진기획단 관계자는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서는 기업유치 등 민간산업부문 일자리 발굴 및 기업 맞춤형 일자리지원에 중점을 둬야 한다. 더불어 지역기업과 청년층 미스매치 완화대책 추진 등이 필요하다”면서 “청년층의 일자리지원을 위해서는 산학연 등 네트워크 구축 및 청년 희망 일자리 프로젝트 추진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시장 축소로 인해 지역에서도 학교 졸업을 연기하는 대학생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부와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전국 144개 대학 중 졸업유예 제도를 실시하는 학교는 121개교로, 충청권에서는 모두 29개 대학에서 '졸업유예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