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의 달 특집] 6.25 최후의 보루는 대전… 딘소장과 미카의 운명

  • 문화
  • 문화 일반

[보훈의 달 특집] 6.25 최후의 보루는 대전… 딘소장과 미카의 운명

  • 승인 2016-06-16 14:03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딘 소장 구출작전, 0720 대전으로
1. 미카3-129 6.25전쟁 포화속으로 3. 철도인 최초 공훈자 김재현 기관사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윌리엄 딘 소장이 이끄는 미8군 제24사단이 가장 먼저 한국에 도착했다. 북한의 맹공으로 이미 서울이 점령된 상황이었다. 제24사단이 북한군의 남침을 막기 위한 가장 중요한 거점지구로 대전을 꼽았다. 대전을 사수해야만 맥아더 장군이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해 7월18일 진격해오는 북한군과 처절한 3일간의 전투가 대전에서 시작됐다. 공주, 논산, 유성… 점점 퇴각하는 미군은 최후의 보루라는 심정으로 대전 갑천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 전쟁의 한복판에 딘 소장과 미카가 있었다.

▲6.25전쟁당시 대전전투를 지휘했던 윌리엄 딘 소장의 모습.
▲6.25전쟁당시 대전전투를 지휘했던 윌리엄 딘 소장의 모습.

대망의 7월20일 새벽, 서대전 네거리에 주둔해 있던 딘 소장과 미군은 3.5로켓포와 바주카로 북한군의 탱크를 공격했다. 소련제 전차 등 총 14대를 파괴했지만 북한군의 맹공은 상당했다. 더 이상 버틸 수 없음을 깨달은 딘 소장은 “사단은 옥천으로 이동하라” 마지막 무전을 대전 선화동에 위치한 당시 충남도청사에서 보낸다. 곧 대전시내를 빠져나가기 위해 지프차에 올랐지만, 혼전 속에서 딘소장이 탑승한 차량은 분대와 떨어져 길을 잃고 만다.

딘소장의 고난은 여기서 시작됐다. 길을 잃은 딘소장은 생과 사를 넘나들며 전북 진안까지 내려갔지만 그곳에서 한두규라는 마을 주민이 딘소장의 행방을 인민군에 밀고했다. 6.25전쟁의 포화속에서 대전전투를 진두지휘하던 군인에서, 길을 잃은 미군으로 그리고 결국 인민군의 포로가 되고 말았다.

▲딘소장이 인민군에게 붙잡히자 딘소장 구출작전에 투입됐던 미카3-129. 현재 대전현충원에 있다.
▲딘소장이 인민군에게 붙잡히자 딘소장 구출작전에 투입됐던 미카3-129. 현재 대전현충원에 있다.

미카의 등장 “작전명 딘 소장을 구출하라”

6.25 당시 딘소장의 이야기에 미카3-129가 빠질 수 없다. 인민군의 포로가 된 딘소장 구출작전의 영웅이기 때문이다.

영동으로 퇴각한 미군은 급하게 딘소장을 구출하기 위해 팀을 꾸린다. 증기기관차 미카3-129와 김재현 기관사, 황남호 본무조사, 현재영 보조조사를 코레일을 통해 차출하고 미군 결사대 30명을 태우고 대전역으로 향했다. 이원역에서 옥천역으로 그리고 세천을 지나 대전역에 당도했다. 역에 멈춰선 미카에서 미군들이 내려 딘소장을 찾으러 나섰다. 당시 충남도청사에서 마지막 무전이 있었고 퇴각하던 부대와 떨어진 지점이 대전역 인근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딘소장은 없었다.

▲옛 구정리터널에는 6.25당시 인민군의 공격을 받은 총격 흔적이 남아있다.
▲옛 구정리터널에는 6.25당시 인민군의 공격을 받은 총격 흔적이 남아있다.

30분의 수색을 마치고 미카는 돌아가기 위해 경적을 울린다. 대전역에서 세천역을 지날 무렵 또다시 매복해 있던 인민군이 공격을 퍼붓기 시작했다. 탕탕탕!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총알들, 결국 이곳에서 김재현 기관사는 사망했고, 이어 현재영 보조조사마저 총상을 입고 쓰러졌다. 홀로 남은 황남호 본무조사의 필사적인 운전으로 세천역을 빠져나왔다. 북한군의 공격은 당시 구정리 터널에서 주로 이뤄졌는데 현재까지도 총과 포탄에 맞은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딘소장 구출작전으로 기관사 2명이 사망, 미군은 32명이 사망했다.

▲보문산에 있는 대전지구 전적비. 딘소장이 포탄을 들고 북한군을 공격하는 모습이다. 중도일보 DB
▲보문산에 있는 대전지구 전적비. 딘소장이 포탄을 들고 북한군을 공격하는 모습이다. 중도일보 DB

전쟁이 휴전되자 딘소장은 남한으로 풀려났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참전한 공로로 육군 무공 훈장을 받았다. 그는 현재 샌프란시스코 국립묘지에 묻혀 있다. 6.25전쟁이 발발한 지 무려 66년이 흘렀지만 딘 소장은 여전히 세계 전쟁영웅으로 꼽힌다. 그가 고군분투하며 미군들과 지켜낸 대전전투로 북의 거센 남침을 막아냈고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할 수 있었던 도화선이 되었음은 모두가 인정하는 공로다.

대전 보문산에는 대전지구 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이 전적비는 딘 소장이 로켓포로 북한군을 공격하는 모습이다. 보훈의 달 두 번째 시리즈를 준비하면서 서대전 네거리와 대전역, 세천역과 구정리 터널을 답사했다. 아주 자세히 보면 전쟁의 포화는 여전히 남아 있다. 세월도 미처 지우고 감추지는 못했더랬다.

길을 잃고 포로가 되는 과정에서 딘소장의 철모가 세천지역 어딘가에 떨어졌다는 기록을 보았다. 주인을 잃은 철모는 과연 어디에 잠들어 있는 것일까. /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2.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3.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1.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2.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3.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헤드라인 뉴스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새 정부 '5극 3특' 국가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 초광역화 개편 가능성에 지역사회에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업 수행지역이 시도 단위에서 권역으로 확장되면 지역대학들의 시도 간 협업이 가능해지지만, 공동과제 부담이나 경쟁이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초 광역화 개편 시점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기존에 각 시도가 사업 수행 과제를 정하고 대학들이 이에 맞추는 경직된 구조가 이어진다면 권역 단위에서도 공동과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