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1년…자립 지원 강화해야"(종합)

  • 경제/과학
  • 경제 연합속보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1년…자립 지원 강화해야"(종합)

  • 승인 2016-11-07 19:35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1년…자립 지원 강화해야"(종합)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지난해 7월 도입된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수급자들이 근로활동을 통해 스스로 기초생활수급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립 제도를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란 급여의 소득 기준을 '최저생계비'라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상대 기준인 '중위소득'의 일정값으로 잡고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별로 수급 기준을 다르게 선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내년도 중위소득은 4인 가족 기준 446만7천380원이며 생계급여는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의 30% 이하일 때, 주거급여는 43%, 의료급여는 40%, 교육급여는 50% 이하일 때 각각 지급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7일 발간한 '맞춤형 급여체계 이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를 보면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수급자 수를 늘려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수급자의 급여 수준을 높이는데 일정한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된다.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 전인 2015년 6월 131만6천명이었던 수급자는 제도 도입 1년 후인 2016년 5월 166만8천명으로 늘었다.

수급 가구의 현금급여도 생계급여는 4만7천원, 주거급여는 2만1천원 정도 늘었다.

이 같은 효과와 달리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탈수급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제도 개편 이후 일부 4가지 급여종류 중 일부 급여만 수급하고 있는 집단이 증가하면서 근로 능력이 있는 수급자 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들어졌고, 이 때문에 자활사업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대명 연구위원은 "실제로 자활사업에 참여할 조건부 수급자가 급격히 줄고 근로 능력이 있는 수급자의 조건불이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 위원은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 아래서 근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 대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근로 빈곤층 대상 고용복지연계제도가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자활 사업에 참여할 조건부 수급자 수가 추계상으로는 조금 감소했지만 실제 참여자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아직 제도가 시행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아 자립효과가 미미하다고 평가하기엔 이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sujin5@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경찰청 경무관급 인사 단행… 충남청 2명 전출·1명 전입
  2.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3. 서산시, 제3회 온(溫)가족 축제 성황리에 개최
  4.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5.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1. [2025 국감] R&D 예산 삭감 여파·포스트 PBS 대응 등 과기계 현안 점검
  2. '아쉬운 첫 출발'…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1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대전시 국감]농수산물시장 도매법인과 하역노조 갈등 수면 위
  4. [르포] 한남대 학생이 체험한 행복동행 힐링축제
  5. [월요논단] 대전체육 역대 최고 성적, 최고 흥행

헤드라인 뉴스


국비 문턱에 막힌 `대전 웹툰 클러스터`…2030년 완공 물 건너가나

국비 문턱에 막힌 '대전 웹툰 클러스터'…2030년 완공 물 건너가나

대전시가 추진 중인 '웹툰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국비 반영 난항으로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이 사업을 지역 콘텐츠산업 발전의 핵심 거점사업으로 보고 힘을 보태고 있는데 '돈 줄'을 쥔 기획재정부 예산심사에선 연거푸 고배를 마셨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당초 2028년 완공 목표가 2030년 이후로 미뤄질 우려가 커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7일 취재에 따르면, 시가 추진 중인 웹툰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올해 10월 중 중앙투자심사 상정을 목표로 했지만 국비 확보가 지연되며 심사 절차조차 착수하지 못한..

보이스피싱 등으로 93억여 원 편취… 지휘·통솔 체계 갖춘 캄보디아 범죄조직
보이스피싱 등으로 93억여 원 편취… 지휘·통솔 체계 갖춘 캄보디아 범죄조직

"속아서 범죄에 가담했다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충남경찰청이 캄보디아 송환 피의자 45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범죄는 강제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큰 돈을 만질 수 있다는 지인들의 제안을 수락하거나 인터넷 광고를 보고 직접 범죄에 가담했다. 이 중 몇명은 카지노에서 돈을 탕진하고 새로운 도박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조직에 가담한 경우도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조직적으로 이들을 감금하고 폭행하는 등 강제로 범행을 시켰다는 정황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부건' 총책이 조직한 범죄집단에 가입했다. 이 집단은 총책을 정점..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가 지연되고 있다. 지난달 치안 정감·치안감 등 수뇌부 인사에 이어 경무관 전보만 이뤄졌을 뿐, 경무관·총경 승진 인사는 감감무소식이라 발표 시점을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추가 인사는 2025 'APEC 정상회의' 이후가 될 것이라는 내부전망도 나온다. 경찰청 본청은 10월 25일 경무관급 51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9월 25일 치안감급 30명에 대한 승진·전보 인사를 발표한 것에 이어 한 달 만에 이뤄진 인사 조치다. 경무관 정원 83명 중 절반 이상이 자리를 옮겼는데, 수사 라인이 대거 교체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