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거울과 그림자, 미국 사회에 대한 비유

  • 문화
  • 영화/비디오

[김선생의 시네레터] 거울과 그림자, 미국 사회에 대한 비유

- 영화 <어스>

  • 승인 2019-04-04 16:58
  • 신문게재 2019-04-05 1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어스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목 <어스, Us>는 중의적입니다. '우리'라는 뜻과 함께 '미국(United State)'이라는 의미도 들어 있습니다. 이처럼 영화는 미국의 현실에 대한 비유와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중산층 흑인 가정이 휴가지에서 겪는 이야기가 공포스럽게 펼쳐집니다. 미국 사회에서 흑인이 중산층이 되는 것은 결코 녹록치 않습니다. 휴가를 위한 별장이 있고, 중고나마 모터보트를 살 수 있는 형편 말입니다. 그런데 깊은 밤 그들과 똑같이 생긴 복제 인간이 나타납니다. 그리고는 별장 안으로 들어와 싸움을 걸고, 목숨을 해치려 합니다.



누군가 사적 영역을 침범해 위협을 가한다면, 더구나 그들이 우리와 똑같이 생긴 존재라면 거기서 오는 공포는 표현하기 힘들 것입니다. 그런데 영화는 이 복제 인간을 정부가 만들어 낸 것으로 그려냅니다. 이는 이민자들에 대한 비유입니다. 이민자들에 의해 집과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미국 시민들의 위기가 배어 있습니다. 남편이자 아빠인 남성도 그렇지만 영화에서 가장 굳세게 침입자들과 맞서 싸우는 이는 아내이자 엄마인 에이드입니다. 영화는 놀라운 반전을 숨겨놓고 있습니다. 그녀가 원래의 소녀와 뒤바뀐 복제인간이었다는 사실입니다. 따지고 보면 미국 시민들 모두가 이민자들이거나 이민자의 후예입니다. 이 작품이 흥미로운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영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장치는 거울과 그림자입니다. 1986년 어린 애들레이드가 생일날 엄마, 아빠와 갔다가 복제인간 소녀와 뒤바뀌는 곳인 놀이공원의 '어둠의 방'. 그곳은 곳곳에 거울이 있습니다. 거울은 사람을 비춰주기도 하지만 현실과 혼동을 일으킵니다. 똑같이 생긴 거울 속의 그들로 인해 갈 길을 잃고, 처지가 뒤바뀌고, 공포에 휩싸입니다. 복제된 인간들(이민자들)을 양산해 내는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의식이 담겨 있기도 합니다.



영화는 그림자를 보여줍니다. 실체보다 더 크고 길게, 어둡게 드리운 그림자. 사람 뒤에 붙어서 따라오다가 어느 순간 사람을 덮치는 그것이 일으키는 공포는 은밀하면서 강력합니다. 산타크루즈 해변을 걷고 있는 주인공 가족들 뒤로 늘어선 그림자를 보여주는 버즈아이숏은 영화 전체에서도 가장 인상적입니다. 알지 못한 채 벗어날 수 없는 상황에 갇힌 인물들을 목도하게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 미국 사회의 어두운 현실을 봅니다.

김대중 선생님 시네레터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