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0강 유아무와(唯我無蛙)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0강 유아무와(唯我無蛙)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12-2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50강 유아무와(唯我無蛙) : 나에게는 오직 개구리가 없다

글자 : 唯(오직 유)我(나 아/ 우리 아)無(없을 무)蛙(개구리 와)



비유 : 부정부패(不正腐敗)로 얼룩진 사회, 뒷거래에 의한 부정한 출세 등

몇 년 전부터인가 사람들 사이에 많이 회자(膾炙)되었던 유아무와인생지한(唯我無蛙人生之恨/有我無蛙라고쓰기도함)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의 출처는 명확하지 않다. 혹 구전(口傳)을 통해 우리사회에 경종(警鐘)을 울리는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고려 말 유명한 학자인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圭報)가 여러 번 과거에 낙방을 하고 초야에 묻혀 살고 있었다. 명종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다. 다행히 민가를 발견하고 하룻밤 묵기를 청했지만 집주인(이규보)은 거절하면서 주막집 있는 곳을 알려주므로 임금은 할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런데 임금을 궁금하게 한 것은 그 집 대문에 붙어 있는 글이었다.

유아무와 인생지한(唯我無蛙 人生之恨/有我無蛙), '나는 오직 개구리가 없는 것이 인생의 한이다/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 것이……'

도대체 개구리가 무엇일까? 임금은 개구리가 뜻하는 것을 생각해 보았지만 알 수가 없었다. 주막에 들려 밥을 한 그릇 시켜 먹으면서 주모에게 외딴집 선비에 대해 물어 보았다. 주모는 "그가 과거에 낙방하고 마을에도 안 나오고 집안에서 책만 읽으면서 살아가는 양심이 바른 훌륭한 선비다"고 일러주었다. 이에 궁금증이 발동한 임금은 다시 그 선비의 집으로 가서 사정한 끝에 가까스로 하룻밤을 묵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금은 집 주인에게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글에 대한 사연을 듣게 되었다.

집주인이 들려주는 말은 이렇다.

옛날, 노래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한 숲에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까마귀가 꾀꼬리에게 노래 시합을 하자고 제안했다. "3일 후 백로(白鷺)를 심판관으로 하고 노래 시합을 하자"는 것이었다. 꾀꼬리는 참으로 어이가 없었다. 노래를 잘하기는커녕 목소리 자체도 듣기 싫은 까마귀가 나에게 노래 시합을 제의하다니, 하지만 꾀꼬리는 3일 동안 목소리를 더 아름답게 가꾸며 열심히 노래 연습을 하였다. 한편 시합을 하자고 제의한 까마귀는 노래연습은 안 하고 논두렁을 다니면서 개구리를 잡으러 돌아다녔다. 그렇게 잡은 개구리를 백로에게 갖다 주는 것이었다.

약속한 3일 되어 꾀꼬리와 까마귀는 노래 한 곡씩 부르고 심판관인 백로의 판정을 기다리고 있었다. 꾀꼬리는 자신이 생각해도 너무 고운 목소리로 잘 불렀기에 승리를 장담했지만 결국 심판관인 백로는 까마귀의 손을 들어 주었다. [이 고사는 와이로(蛙利鷺)의 유래라는 설도 있다. '와이로(わいろ)'는 일본말이다. 타인에게 부정한 금품을 증여한다는 뜻을 가진 '회뢰(賄賂)'라는 한자어를 일본식으로 읽은 것이다]

이에 이규보 선생은 "아무리 학문을 열심히 해도 고관대작의 자녀이거나 뇌물로 뒷거래가 없으면 낙방할 수밖에 없기에 자신은 초야에 묻혀 살고 있노라"고 말했다.

명종은 이규보 선생의 학식과 고매한 인품에 감동하여, "사실은 자신도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하고 현재 전국을 떠도는 신세라며, 한 달 후에 조정에서 임시과거시험이 있다고 해서 올라가는 중이다"라고 거짓말을 했다. 그리고 궁궐에 돌아온 즉시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하여 전국에 방을 붙였다. 과거를 보는 날 이규보 선생도 뜰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데, 시험관이 내 걸은 시제(試題)가 '유아무와 인생지한(唯我無蛙 人生之恨)'이라 깜짝 놀랐다.

다른 사람들은 그게 무엇을 뜻하는가 생각하고 있을 때, 이규보 선생은 답을 적어냄으로 장원급제하여 차후 유명한 학자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까지 하였다.

이는 인재를 알아보는 임금의 혜안(慧眼)이 돋보이는 이야기이지만 한편으로는 부정부패로 얼룩진 어두운 사회를 개탄하는 좋은 일례(一例)이기도하다.

어느 사회이건, 어떤 나라든 사람이 살고 있는 곳에서는 부정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권력에 의한 부정은 작은 것 같지만 나라의 모든 질서를 흐트려 놓아 결국 망국(亡國)의 길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 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역사를 통해볼 때 인재 등용으로부터 국가운영 전반에 정의롭고 청렴함이 우선시 되었던 국가는 흥(興)하여 태평성대(太平聖代)를 이루었으나, 부정(不正)이 만연된 나라는 부패(腐敗)되어 결국 망(亡)했던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요즈음 흔한 말로 '금수저', '은수저', '흙수저'라는 용어가 유행어처럼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이는 불공정한 사회를 풍자하는 말이기도 하다.

높은 곳에 있으면 위태로움을 생각해야 하고, 방에 들어와서는 신(神)이 볼 것을 생각해야 한다. (高居不可不念其危 入室不可不思其瞰/고거불가불념기위 입실불가불사기감)

윗물이 이미 흐리니 아랫물이 맑기 어렵다(上流已濁 下流難淸/상류이탁 하류난청)

어느 경우이건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정의롭지 못한 나라에 불쌍한 사람들은 결국 힘없고 돈 없는 선(善/매우 착한)한 백성(국민)일 뿐인 것을…….

경자(庚子)년은 얼룩졌으니 이제 신축(辛丑)년을 기대해보자.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