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을 기리며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을 기리며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대학장

  • 승인 2020-12-30 08:22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백낙천교수
백낙천 학장
주시경 선생은 확고한 언어 의식과 독창적인 이론을 토대로 국어 문법을 기술한 학자로서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선생은 지금도 국어학사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제시한 문법 체계는 현대 국어 문법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 점에서 주시경 선생은 그 자체가 국어 문법 연구의 시작점이며 그의 문법 이론에 대한 계승, 발전은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말, 조선의 국운은 그야말로 풍전등화의 상황으로 치달아 국권이 흔들리고 민족의 자존심이 훼손되는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에 주시경 선생은 1876년 12월 2일 황해도 봉산에서 1녀 4남 중 셋째로 태어났다. 선생의 본관은 상주(尙州)로서 백운동서원을 세운 유학자 주세붕의 후손이며, 어릴 때 이름은 상호(相鎬)였다.



주시경 선생은 갑오경장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893년에 배재학당 교사였던 박세양, 정인덕 등에게 신학문을 배우면서 또 다른 세계와 새로운 학문에 눈을 뜨게 됐다. 이어 1894년인 19세에 큰 뜻을 품고 배재학당에 입학해 학문에 매진하고 1900년 6월 25세의 나이에 배재학당을 졸업했다. 주시경은 21세인 1897년에 당시 나이 16세인 김명훈과 결혼해 가정을 이뤘으며, 슬하에 2녀 3남(솔메, 세매, 힌메, 봄메, 임메)을 두었고, 평생을 국어를 연구하고 실천했을 뿐만 아니라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계몽을 위해 헌신했다. 그러나 조국의 독립을 위한 더 큰 계획을 눈앞에 두고 1914년 불과 39세에 안타깝게도 생을 마감했다.

주시경 선생의 학문은 크게 보아 문자론과 맞춤법, 음성학과 문법론, 사전 편찬의 노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세 분야에서 선생의 업적은 우리말의 틀을 잡아 올바른 어문 생활을 교육해야 하겠다는 일념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대한국어문법'(1906), '國語文典音學'(1908), '國語文法'(1910), '말의소리'(1914) 등의 저서에 잘 나타나 있는데, 국어 문법의 규범적 기틀을 세우고 실용의 방편을 마련하는 데 일관된 입장을 견지했다고 할 수 있다.



주시경 선생은 배재학당을 졸업한 1900년부터 한글을 가르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했는데, 당시 배재학당 인근에는 휘문, 명신, 보성, 중앙, 진명, 경신, 숙명, 이화 등의 신학문 학교들이 모여 있었으며, 이곳을 동분서주하면서 주야로 국어를 가르치면서 백성의 계몽을 일깨웠다. 이때 얻은 별명이 '주보퉁이'인데,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있으면 책을 보자기에 싸서 매고는 어디든 달려가 가르쳤던 주시경의 열정을 그대로 보여주는 영광스러운 별칭이다.

1910년을 전후로 평안도·황해도 등 북서지역에서는 신민회(新民會)와 기독교계가 중심이 돼 신문화 운동을 통한 독립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는데, 급기야 1911년 일제는 무단통치의 일환으로 민족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사건을 확대하고 조작해 105명의 애국지사를 투옥한 이른바 '105인 사건'(일명 신민회 사건)을 일으켰다.

'105인 사건'이 일어나자 일제는 주시경 선생이 교육 활동의 본거지로 삼았던 상동교회를 조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거점 조직으로 간주하게 됐으며,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심해지자 당시 민족주의자들은 만주나 해외로 떠나기 시작했다. 주시경 선생도 이런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해 결국 고심 끝에 만주로 떠날 준비를 했다.

모처럼 온 가족이 모여 저녁 식사를 하는 단란한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주시경 선생은 갑자기 끊어질 듯한 복통을 호소하고 며칠을 앓아눕다가 끝내 눈을 감고 말았으니 이때가 1914년 선생의 나이 39살 때였다. 그 어느 때보다도 힘들었던 한 해가 저물어가는 12월, 혹독했던 시대 12월에 태어나 짧은 삶을 살았지만, 민족의 언어와 민족의 혼을 일깨우고 평생을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힘쓴 주시경 선생을 떠올려 본다.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대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2.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3.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4. 김태흠 “6.25 참전유공자 희생·헌신 잊지 않을 것”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아니 갑자기 이렇게? 10번 문제에 우수수 탈락
  1.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즐겁게 퀴즈풀며 안전상식 배웠다… 2025 예산군 어린이 안전골든벨 '성료'
  2. 충남도, 내년 국비 확보 총력… 김태흠 지사 국회 방문
  3.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최형규 예산군 산업건설국장 "안전상식 배우고 실천해주길"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아이들 행복의 기초는 안전"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퀴즈왕 조림초 전태수 학생 "즐겁게 퀴즈 풀다보니 우승까지… 기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