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정명희 화가 “미술관 활성화 위한 전문학예사 충원 절실”

  • 사람들
  • 인터뷰

[인터뷰] 정명희 화가 “미술관 활성화 위한 전문학예사 충원 절실”

정명희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
15일부터 신작·소장작 공동전시

  • 승인 2021-02-09 16:12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정명희
정명희 화백.
"벌써 10년, 강산이 한 바퀴 돌았으니 변화할 때도 됐죠. 미술관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전문학예사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정명희 화가가 자신의 이름을 건 미술관의 지난 10년을 회상하며 소회를 밝혔다.



대전시교육청 정명희미술관(명예관장 기산 정명희)이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며 과거와 현재 기산의 작품세계를 느낄 수 있는 소장작과 신작을 공동 전시한다.

기산 정명희 신작전 '자유의 여정'은 10주년이 되는 오는 15일부터 26일까지 대전갤러리에서 연다. 같은 날 소장전 '대전(大田)을 걷다, 삼천(三川)에 물들다'는 6월 26일까지 정명희미술관에서 전시한다.



이번 소장전 '大田을 걷다, 三川에 물들다'는 대전의 3대 하천인 대전천, 갑천, 유등천를 기산이 직접 답사하고 스케치하며 작품으로 승화했다. 10년 전 대전중구문화원 기획초대전을 필두로 '뉴 대전 아트 챌린지(New Daejeon Art Challenge)''를 위한 세 번째 앙콜전이다.

신작전 '자유를 향한 여정'은 평생 금강을 화두 삼아 생명과 환경을 주제로 활동해 온 기산의 작품세계를 담았다. 기산은 "환경이 파괴된 강에는 새들이 머물지 않기에 새들이 모여드는 강의 부활을 염원하며 그렸다"며 "새에만 머무르다 보니 오히려 새에서 벗어나고 싶어졌고, 오랜 시간 고뇌한 끝에 역발상 해 새만 그리기 시작했다"라며 신작의 작품 배경을 설명했다.

정명희미술관은 10년 전 김신호 전 대전시교육감 당시 재능기부로 탄생했다.

지난 2011년 8월 작품 1396점을 대전시교육청 'Happy 스쿨 대전교육사랑운동'에 무상기부 했으며, 시·교육청은 이듬해인 2012년 9월 '금강의 희노애락' 전시회에 맞춰 대전평생학습관 내 302호에 정명희미술관을 개관했다.

정명희미술관은 10주년을 맞이하는 동안 전문인력 부재와 공간 협소에 따른 작품 보관 장소 부재 등 구설이 끊이지 않았다. 일련의 과정을 겪으며 가장 큰 안타까움을 느낀 사람은 다름 아닌 정명희 명예관장이었다. 정 명예관장은 "교실 2개 크기의 40여 평 남짓한 공간이 전시실의 전부"라며 "규모의 문제도 있지만 이보다 시급한 건, 미술관 내 학예사 같은 전문인력이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국 시도교육청 중 실명미술관으로는 유일하다. 현재 평생학습관 인력이 관리를 겸하는데, 내부 인사 때마다 교체되는 바람에 지속적인 관리가 어렵다"라며 "10주년을 계기로 미술관 관리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전문 학예사 한 사람만 확충해도 활용도가 매우 높아질 것이다"라며 아쉬움을 내비쳤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는 이제 그만...2026년 진짜가 온다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는 이제 그만...2026년 진짜가 온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이후 희망고문을 반복해온 '세종시=행정수도'. 국민들 사이에선 '언제까지 토론회와 국회 논의만 반복할 것인가'란 반신반의가 여전하다.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이 2026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의 현실화를 선언하고 나섰다. 우 의장은 27일 오전 10시부터 서울 국회 여의도의사당 박물관 2층 국회 체험관에서 열린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앞서 2026년 5월 자신의 임기 내 '국제 설계공모' 마무리 약속 이행 의지도 재확인했다. 그는 일정상 대독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