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전력자립도 전국 최하위...자립화 대안 마련 시급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전력자립도 전국 최하위...자립화 대안 마련 시급

시 지난해 3월 기준 1.96% 그쳐...인천의 128배 차
대전시 "노후 설비 교체.추가 연료 생산시 큰 도움"

  • 승인 2021-04-06 17:18
  • 수정 2021-04-28 15:00
  • 신문게재 2021-04-07 3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20210406_162432
대전시 전력자립도가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면서 에너지 자립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탈 석탄 정책 추진으로 지자체별 에너지 자립화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대안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주민·환경단체 등의 반대로 논란이 된 대전열병합발전(주)이 추진하는 노후설비 리모델링을 통한 안정적 에너지 공급이 이를 대체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6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지역의 에너지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2020~2025)'을 보면 대전의 전력자립도(전력생산량/전력소비량)는 1.96%로 나타났다. 서울시(1.3%)가 전력자립도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꼽힌다.



17개 시도 중 전력자립도가 가장 높은 인천(252.5%)과 비교하면 무려 128.8배 차이를 보인다.

대전의 자체전력 생산량은 185GWh로 전국(570.647GWh) 생산량의 0.03% 수준에 그쳤다. 전력 생산량이 가장 높은 충남(13만1897GWh)과 비교해 713배 차이다.

대체로 중앙발전으로 화력발전과 원전이 가동되는 지역의 전력 생산량은 높게 나타나는 흐름을 볼 수 있다. 대전과 광주, 서울 등은 이 같은 시설 부족 등으로 전력 생산이 현저히 떨어진다.

결국 대전시가 향후 전력 자립화에 성공하지 못하면 외부에서 필요한 전력을 끌어와 사용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이렇게 되면 송전설비 건설 부담은 물론 경제성과 함께 폐연료 소비도 높아진다.

인근 청주와 여수 등은 발전시설 현대화를 통해 자체 에너지를 생산하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현재 대전지역 집단 에너지 사업자는 씨엔씨티에너지(주), 대전열병합발전, 학하집단에너지사업소, 한국주택토지공사 대전에너지사업단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이 도시가스사업과 전력사업 등을 책임지고 있지만, 지역 전력생산 등은 부족하다.

대전시는 삶의 질을 높이는 참여형 에너지체제로 전환을 위해 2017년 7.6%던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확대 계획을 갖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부의 탈 석탄, 탈원전 등으로 향후 이들 발전소 가동이 멈춰서는 데 그렇게 되면 지역 내 연료(전기) 등 자체 생산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며 "현재 우리는 전국 전력생산자립도가 가장 낮다. 노후화된 설비를 교체하고 추가 연료를 생산하면 전기용량이 더 늘어나 전력 자립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