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다문화] 마라탕의 인기는 언제까지?

  • 다문화신문
  • 세종

[세종다문화] 마라탕의 인기는 언제까지?

/최금실 명예기자(중국)

  • 승인 2021-06-08 17:20
  • 신문게재 2021-06-09 1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clip20210607233612
최근 길거리 혹은 쇼핑몰 음식코너 등에서 마라탕 식당을 쉽게 볼 수 있다.

10여 년 전 필자가 처음 한국에 왔을 때는 단 한 집도 없었다. 먹고 싶어도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는 그런 음식이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젊은 세대부터 남녀노소가 즐기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보니 신기하다.

필자는 학창시절 처음 중국 본향에서 마라탕을 접했다. 원래는 중국 쓰촨 성 요리인데 20여 년 전 중국 여러 도시로 전파되었다고 한다. 하굣길에 떡볶이 집에 들러 친구들과 먹듯이, 중국에서는 마라탕 가게에서 한 그릇씩 먹던 추억이 있다. 현재는 여러 가지 채소와 고기를 직접 골라서 먹는 방식이지만 그때만 해도 짬뽕 한 그릇 나오듯 한 그릇씩 주문하는 형식이었다. 각자 한 그릇씩 주문해 친구들과 웃고 떠들며 먹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마라탕의 마(麻)는 얼얼하다, 라(辣)는 맵다, 탕은 데치다는 뜻이다. 여러 가지 재료들을 매운 양념에 데쳐서 먹는 음식인 셈이다.

중국식 샤브샤브 훠궈와 비슷하지만 향신료가 조금 차이가 난다. 얼얼하게 맵고, 땅콩소스 향도 조금 나며, 분모자·완자 등 골라 먹는 재미가 있는 음식이다.

처음에 '과연 한국 사람들이 이런 맛을 좋아할까'라고 생각했는데 마라탕 열풍에 너무 놀랐다. 유튜브 등 먹방에서 다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수많은 체인점이 생기고 가족 단위로 함께 하는 외식문화가 되었다는 것이 신기하고 놀라움의 연속이다. 인기의 힘을 입어 많은 기업에서는 마라탕소스·마라탕라면 등 마라에 관한 제품들을 연이어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더욱 신기했던 것은 중국 사람들은 마라탕을 먹을 때 맵고 짠 자극적인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건져 먹는데, 한국 사람들은 맵기 단계를 조절해 조금은 덜 맵게 조리하고 국물에 밥까지 곁들여서 먹는다. 육개장·짬뽕처럼 먹는 것이 특이하다. 맵기 조절과 밥과 곁들여 먹기, 마라샹궈·탕수육 등 요리도 함께 나오는 전문적인 음식점이 생긴 것이 하나의 한국만의 음식문화가 형성됐다는 것을 말해준다. 비슷한 예로 중국의 짜장면을 한국만의 검은색 춘장 짜장면으로 개발해 세계적으로 한국식 짜장면을 알리고 중국으로 역수출 한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의 마라탕 또한 미래에 어떻게 개발되고 알려질지 무척 궁금하다.

요즘 학교 주변에 꼭 하나씩 있는 마라탕 가게. 하교 시간에는 마라탕을 먹는 학생들로 북적거리는 광경. 그들에게 과연 마라탕은 또 어떤 추억들로 남겨질까? 마라탕의 인기는 언젠가는 식을지 모르지만, 학창시절 추억의 향기와 함께 얼얼한 맛은 늘 우리 곁에 함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최금실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2. [부고] 김천호 천안시 건설도로과 자전거문화팀장 부친상
  3. 광주시, 상생카드 13% 특별할인…총 6200억원 발행
  4. 상명대 미래교육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생 모집
  5. 최교진 교육장관 후보, 세종시교육감직 사임
  1. 이효성, 지방자치대상 행정.의정 최우수상… "현장 중심 실용적 의정활동"
  2. ‘인생의 수를 놓다’ 졸업식
  3. 세이브더칠드런 중부지역본부, 2025 차노을 전국투어 대전 수익금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학습 환경 지원
  4. 꼬리물기 등 '5대 반칙 운전행위' 어림없다!
  5. 대전중부경찰서, 찾아가는 범죄예방 교육 마무리

헤드라인 뉴스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행정수도 세종의 밑그림이 될 '국가상징구역'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대한민국 국가균형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을 포함한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 공모착수 소식에 지역사회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8월 29일 논평을 통해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공모 시작은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완공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며 평가하면서 "그동안 시가 조속한 건립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온 데 대한 정부의 호응이자, 행정수도 완성을 향한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시는 그간..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세계 유일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가 9월 1일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세종시(시장 최민호)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박영국)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42일간 조치원 1927아트센터, 산일제사 등 조치원 일원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그리는 말, 이어진 삶'을 주제로 열리는 한글 비엔날레 기간에는 한글의 가치를 예술, 과학, 기술 등과 접목한 실험적인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영국,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 4개국의 39명 작가가 참여해 한글..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김건희 여사가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29일 구속기소됐다. 전직 영부인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헌정사상 역대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구속 상태로 재판받는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앞서 내란 특검에 구속기소 돼 재판받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특검은 오늘 오전 김건희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7월 2일 수사를 개시한 지 59일 만이다. 김 여사에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