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다문화] 마라탕의 인기는 언제까지?

  • 다문화신문
  • 세종

[세종다문화] 마라탕의 인기는 언제까지?

/최금실 명예기자(중국)

  • 승인 2021-06-08 17:20
  • 신문게재 2021-06-09 1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clip20210607233612
최근 길거리 혹은 쇼핑몰 음식코너 등에서 마라탕 식당을 쉽게 볼 수 있다.

10여 년 전 필자가 처음 한국에 왔을 때는 단 한 집도 없었다. 먹고 싶어도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는 그런 음식이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젊은 세대부터 남녀노소가 즐기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보니 신기하다.

필자는 학창시절 처음 중국 본향에서 마라탕을 접했다. 원래는 중국 쓰촨 성 요리인데 20여 년 전 중국 여러 도시로 전파되었다고 한다. 하굣길에 떡볶이 집에 들러 친구들과 먹듯이, 중국에서는 마라탕 가게에서 한 그릇씩 먹던 추억이 있다. 현재는 여러 가지 채소와 고기를 직접 골라서 먹는 방식이지만 그때만 해도 짬뽕 한 그릇 나오듯 한 그릇씩 주문하는 형식이었다. 각자 한 그릇씩 주문해 친구들과 웃고 떠들며 먹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마라탕의 마(麻)는 얼얼하다, 라(辣)는 맵다, 탕은 데치다는 뜻이다. 여러 가지 재료들을 매운 양념에 데쳐서 먹는 음식인 셈이다.

중국식 샤브샤브 훠궈와 비슷하지만 향신료가 조금 차이가 난다. 얼얼하게 맵고, 땅콩소스 향도 조금 나며, 분모자·완자 등 골라 먹는 재미가 있는 음식이다.

처음에 '과연 한국 사람들이 이런 맛을 좋아할까'라고 생각했는데 마라탕 열풍에 너무 놀랐다. 유튜브 등 먹방에서 다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수많은 체인점이 생기고 가족 단위로 함께 하는 외식문화가 되었다는 것이 신기하고 놀라움의 연속이다. 인기의 힘을 입어 많은 기업에서는 마라탕소스·마라탕라면 등 마라에 관한 제품들을 연이어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더욱 신기했던 것은 중국 사람들은 마라탕을 먹을 때 맵고 짠 자극적인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건져 먹는데, 한국 사람들은 맵기 단계를 조절해 조금은 덜 맵게 조리하고 국물에 밥까지 곁들여서 먹는다. 육개장·짬뽕처럼 먹는 것이 특이하다. 맵기 조절과 밥과 곁들여 먹기, 마라샹궈·탕수육 등 요리도 함께 나오는 전문적인 음식점이 생긴 것이 하나의 한국만의 음식문화가 형성됐다는 것을 말해준다. 비슷한 예로 중국의 짜장면을 한국만의 검은색 춘장 짜장면으로 개발해 세계적으로 한국식 짜장면을 알리고 중국으로 역수출 한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의 마라탕 또한 미래에 어떻게 개발되고 알려질지 무척 궁금하다.

요즘 학교 주변에 꼭 하나씩 있는 마라탕 가게. 하교 시간에는 마라탕을 먹는 학생들로 북적거리는 광경. 그들에게 과연 마라탕은 또 어떤 추억들로 남겨질까? 마라탕의 인기는 언젠가는 식을지 모르지만, 학창시절 추억의 향기와 함께 얼얼한 맛은 늘 우리 곁에 함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최금실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4.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5.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1.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2.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5.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헤드라인 뉴스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대학 기숙사비 결제 방식으로 대다수 대학이 카드 결제가 불가능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나, 여전히 대전권 대학들은 현금 일시불 납부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부가 지난 10월 31일 공시한 '2025년 대학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 기숙사 249곳 (직영·민자 등) 가운데 카드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55곳(22.1%)에 불과했다. 현금 분할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79곳(31.7%)으로 절반도 안 됐다.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일시 납부를 해야 하는 기숙사는 149곳..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지정돼 중·고등학교 과정 6000여명을 배출한 대전예지중고가 2026년 2월 끝내 문을 닫는다. 중학교 졸업생들은 대전시립중고에서 남은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7월 예지중고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예지재단의 파산 선고에 따라 2026년 2월 마지막 졸업생 250여명을 끝으로 시설 운영을 종료한다. 예지재단 파산은 2024년 7월 결정됐지만 재학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추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재학생의 졸업을 기다린 시점이다. 1997년 학령인정 시설로 설립인가를..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