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전본부도 양경수 위원장 구속영장 신청 규탄 성명

  • 사회/교육
  • 노동/노사

민주노총 대전본부도 양경수 위원장 구속영장 신청 규탄 성명

"인멸할 증거도 도주할 우려도 없음에도 구속수사"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도 "즉시 철회" 성명 발표

  • 승인 2021-08-09 16:53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PYH2021080412450001300_P4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4일 오후 지난달 서울 도심 전국노동자대회와 관련해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경찰서로 들어서는 모습. 연합뉴스
민주노총 대전본부가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청구를 규탄하며 투쟁을 예고했다. 앞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하 민변)이 영장청구를 즉시 철회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사회적 갈등이 심화 되는 모양새다.

민주노총 대전본부는 9일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규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과잉·부당한 법 적용으로 민주노총을 탄압하는 경찰과 정부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은 지난달 3일 노동자대회를 주도한 양 위원장이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과 감염병의 예방·관리에 관한 법률·도로교통법 등을 위반했다며 지난 6일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민주노총 대전본부는 "민주노총은 사실관계를 다투거나 부인하지 않고 있어 인멸할 증거도 도주할 우려도 없음에도 구속수사를 하려는 것은 노동자 민중의 저항의 목소리와 절규를 잠재우기 위한 것에 다름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민주노총은 일하다 죽지 않고 다치지 않기 위해, 차별과 설움의 비정규직 신세를 끝내기 위해,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최저임금을 위해, 정리해고와 구조조정으로 일터에서 쫓겨나지 않기 위해,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기본권조차 부정하는 노동법 개정을 요구하며 대통령, 총리, 노동부 장관에게 수차례를 대화를 요청했다"며 "그러나 노동자와 민중의 절규와 호소에 묵묵부답"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대전본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검사 결과 확진자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앞서 확진자가 나타났다는 정부 발표가 정정되지 않았다는 사실도 비판했다.

이들은 "검찰은 경찰의 구속영장을 반려해야 한다"며 "민주노총 대전본부는 검찰과 판단의 지켜볼 것이며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 흔들림 없이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민변 노동위원회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은 즉시 철회돼야 한다'는 성명을 통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고윤덕 민변 노동위원장은 "집회·시위의 자유는 헌법에 보장된 정당한 권리로 이에 대한 제한은 최소한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현재 정부와 서울시는 집회 참가자의 방역지침 준수 여부와 무관하게 선제적·전면적으로 집회를 금지하고 있으며 노동자대회 등 민주노총의 집회에 대해서도 과도한 제한 조취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 위원장 구속영장 신청에 대해 "노동조합의 대표라는 상징성을 고려할 때 도주 및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고 불구속 상태로도 충분히 수사할 수 있음에도 구속하겠다는 것은 공권력 남용이자 코로나19 방역을 빌미로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차단하려는 부당한 조치"라며 "지금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리한 영장 신청이 아니라 시민들이 안전하게 집회·시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수단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고 더불어 당면해 있는 노동현안을 풀기 위한 대화에 나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1.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기고] 충청도 정신의 영원한 정치지도자 JP!

헤드라인 뉴스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 증축공사 앞두고 ‘불안하네’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 증축공사 앞두고 ‘불안하네’

보강공사 후 증축을 앞둔 대전 특수학교 가원학교에서 건물 교실이 흔들려 학생들이 대피 후 결국 귀가하는 일이 벌어졌다. 조사 결과 옥상에 놓인 에어컨 실외기가 원인으로 지목됐지만 학교 구성원의 불안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보다 정확한 조사가 요구된다. 17일 대전교육청·대전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1교시 수업을 앞둔 9시께 4층 한 교실에서 담임 교사와 부담임, 특수교육실무원이 책상과 교실이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고 학교에 보고했다. 교사들은 해당 학급 학생들을 야외로 대피시켰고 인근 교실 학생들도 만일에 대비해 특별실로 이동토록 했..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