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동사진관] 다시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① 93대전엑스포

[오류동사진관] 다시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① 93대전엑스포

제1편. 대전엑스포의 역사적 시작

  • 승인 2021-08-15 10:53
  • 수정 2021-09-02 14:20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컷-오류동사진관

 

 

 

 

 

대전엑스포는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란 주제로 1993년 8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93일간 열렸다. 당시 대전에 살며 고등학생 신분이던 기자는 소풍을 비롯해 친구들과 함께 구경을 가는 등 서너 번 정도 간 기억이 있다. 총 관람객수 1450만 명을 기록했으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학교와 직장, 연인과 데이트를 하며 구경했던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엑스포38
입장을 기다리는 관람객들. 더위를 피할 마땅한 장소가 없어 땡볕에서 두 세 시간 기다리는 게 일상이었음.
대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부지 위에 건설된 박람회장은 국제전시구역과 상설전시구역으로 나뉘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는데 상설전시구역의 전시관은 대한민국 국내 기업에 의해 건립됐다. 지금 생각하면 대단한 모양새도 아니었겠지만 동그란 공 모양, 타원형, 피라미드 모양의 건물들이 모두 미래지향적 디자인이라 생각이들 정도로 획기적이었다.

엑스포39
세 시간이나 기다려 입장했던 자동차관.
그러나 모두가 좋았던 기억만 있었던 건 아니었을 터..당시 자기부상열차 한 번 타려거나 입체영화 한 편을 보려면 두 세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만 했다. 기자도 자동차가 로봇으로 변신하는 자동차관을 보려고 세 시간 넘게 기다리기도 했다. 잠깐 한 눈판 사이에 미아가 발생하는 일도 빈번히 발생해 미아보호소는 그야말로 이산가족상봉의 장소이기도 했다. 개막식 일주일 만에 1백만 명을 돌파했고 몰려든 인파에 제대로 된 식사는커녕 편의시설과 주차장이 부족해 박람회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불평도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왔다.



엑스포21
입구에서 관람객들의 입장을 도와주는 도우미.(당시 도우미란 말이 처음 등장)
대전엑스포가 모두에게 좋은 기억만을 안겨주지는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대전을 주목하게 만든 국제적인 행사였고 개최 된지 어느덧 30년이 다가오고 있는 시점에서 1편 대전엑스포의 역사적 시작을 시작으로 약 15회에 걸쳐 당시 모습을 화보집 형식으로 연재하려고 한다.<편집자주>

<연재 순서>
1편-대전엑스포의 역사적 시작
2편-도우미의 탄생과 역할
3편-축제와 퍼레이드
4편-엑스포의 상징들(꿈돌이, 한빛탑과 엑스포다리)
5~9편-상설전시관
10편-엑스포의 이모저모
11편-이색행사
12편-대전엑스포의 사람들
13편-전통예술공연
14편-시·도의 날
15편-폐막식



엑스포 성공기원 법회
엑스포를 앞두고 성공기원 법회에 참석한 인파.(지금 이렇게 모이면 감염법 위반)

엑스포30
대전엑스포 개회식 모습. 108개국 33개 국제기구 깃발을 들고 입장하는 도우미들.
엑스포
개막식 엑스포 다리 위에서 열린 본마당 행사.
엑스포7
한빛탑 앞에서 열린 개회식 식전·후 공연의 하이라이트인 1200명의 사물놀이 한마당.
엑스포3
엑스포 다리 위를 지나는 기수단 행렬.(엑스포 다리는 아직 그대로 있음)
엑스포9
故 김영삼 전 대통령이 개회식 입장 때 타고 들어 온 태양광 자동차.
엑스포36
박람회장을 오가는 자기부상열차는 첨단과학기술의 상징이자 관람객들이 가장 타고 싶어 한 체험기구였음.
엑스포44
개회식 사진과 기사를 다룬 1993년 8월6일자 중도일보.
엑스포8
개회식 본마당 행사의 규모.
엑스포40
93년도 당시 고등학생 신분인 기자가 대전엑스포에서 찍은 사진.(지금은 사라진 꿈돌이동산 놀이기구가 뒤로 보인다)
엑스포41
지금은 단종된 기아의 스포티지 차량이 전시된 모습.
엑스포42
엑스포과학공원 옆에 위치해 당시 대전의 대표 놀이동산인 꿈돌이동산의 야경.(지금은 철거되고 없어짐)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1.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