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 문화人] 이정수 작가, '언더독'을 지향하는 세태소설가

  • 문화
  • 공연/전시

[문화in, 문화人] 이정수 작가, '언더독'을 지향하는 세태소설가

지난해 제28회 전태일문학상 수상
노동,인권,가난을 소재로 작품 활동

  • 승인 2021-08-19 15:21
  • 수정 2021-08-26 18:08
  • 신문게재 2021-08-20 10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KakaoTalk_20210812_153653964
이정수 작가 모습

"제 작품은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일상 속 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 생각하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작가 이정수(31) 씨는 자칭 '언더독(Underdog, 싸움에서 진 개를 부르는 명칭으로 '패배자, 약자'란 뜻이다.)'을 지향하는 세태소설가다. 노동, 인권, 가난을 소재로 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를 작품 속에 담는다. 그렇다고 거창한 교훈을 주는 것은 아니다. 단지 디스토피아를 보여줄 뿐이다. 그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지만 이면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문제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낸다.

 

 


지난해 제28회 전태일문학상에서 수상한 단편소설 '어금니'는 이 같은 이 작가의 세계관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주인공은 비닐공장 생산직 노동자다. 고된 노동으로 신체의 고통을 느끼고 있지만 일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 어금니를 꽉 물고 참을 뿐이다. 이렇게 이 소설은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법적 보호조차 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일상을 보여준다.



이 씨가 노동인권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그의 살아온 환경과 경험에서 기인한다. 육체노동자였던 부모님을 통해 어릴 적부터 육체노동이 가져오는 고통,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을 자주 목격했다. 어금니는 그가 공장에 다녔을 때 경험을 바탕으로 썼다. 그는 "산재 사고가 일어났을 때 사람들이 쉬쉬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아 이야기로 풀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씨는 캐릭터를 만들 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을 그려낸다. 우리 주변에 아이어맨이나 캡틴 아메리카가 없듯 그는 평범한 사람들의 군상을 잘게 나누고 각각 인물들의 특정한 면을 부각시켜 하나의 인물로 설정한다.



그렇기에 이 씨의 소설에선 악역을 심판하는 권선징악은 등장하지 않는다. 어금니에선 동료의 산재 사고에 침묵하고 외면하는 노동자들이 나름의 악역으로 나온다. 하지만 작가는 이들을 악인이라 단정 짓지 않는다. '생존의 위협 앞에서 과연 도덕을 행할 수 있을까'란 의문 때문이다.

그는 "그에 대한 행동이 악의 평범성이라고 할지라도 그 사람들의 생존 수단일 수도 있다"며 "적어도 침묵하는 사람들이 죄책감을 느끼고 문제라는걸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정도만 말해줄 뿐"이라고 했다.

카뮈와 하이데거를 좋아하는 그는 한 때 실존주의 철학에 심취했었다. 지금도 작가의 작품에 영향을 주고 있는 사상이다. 이 씨는 인간의 주체성, 삶의 주체의식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 어떤 문제에 대해 세태에 휩쓸리지 않고 자기 주장을 펼칠 수 있는 세상을 꿈꾸며 이런 이야기들을 한다.

 

KakaoTalk_20210812_153655027
5월에 노동절 기념으로 아신극장 2관에서 어금니 리빙시어터를 진행했다.
그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우연히 '가시고기'로 읽고 소설의 매력에 빠지기 시작했다. 성인이 돼서도 늘 무언가 쓰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던 그는 어느 날 천명관 작가의 '고래'라는 소설에 매료돼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는 "문체와 표현하는 방법, 그다음에 인물을 설명하는 방법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법 이런 것들이 기존의 어떤 고리타분 거에서 완전히 벗어난 작품이었다"며 "천명관 작가님의 소설을 계속 보고 있고 아직도 자극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무명 작가가 자기 이름으로 책을 출판하기 힘든 세상이다. 출판사나 신춘문예를 거치지 않고는 전업 작가로서 책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이 씨 또한 중편소설 '섬' 이후로 작품집을 간간히 냈을 뿐 그동안 본인의 이름을 내건 작품을 출판하지 못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으로 작품을 내는 게 이제부터 시작해야 할 과제"라고 말한다.

한편 이 씨는 '알고리즘'이라는 유튜브를 소재로 한 희곡작품을 오는 8월 29일 제9회 대전청년유니브연극제를 통해 선보인다. 유튜브, 젠더갈등, 사회적불평등 등 mz세대의 갈등요소들을 담은 작품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4.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5. [썰] 박범계, 검찰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득 or 실?"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