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서천] 바다를 품은 숲, 장항 송림산림욕장과 스카이워크

  • 전국
  • 서천군

[여기 찜했슈-서천] 바다를 품은 숲, 장항 송림산림욕장과 스카이워크

  • 승인 2021-10-01 09:00
  • 나재호 기자나재호 기자

컷-찜했슈







해안가를 따라 곰솔과 맥문동이 어우러진 힐링 명소

서해 바다와 연결된 환상의 하늘길 장항스카이워크 


송림산림욕장을 배경 삼아 바다와 맞닿아 있는 장항스카이워크
송림숲을 배경 삼아 바다와 맞닿아 있는 장항스카이워크

사람의 지친 심신을 위로해 주는 자연의 선물이 있다면 무엇을 꼽을 수 있을까. 나무, 꽃, 파도, 노을이 빚어 내는 풍광과 함께 힐링할 수 있는 곳을 굳이 택하라면 장항 송림산림욕장을 빼 놓을 수 없다.

 

푸른 곰솔(해송)숲을 산책하며 자연이 주는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송림산림욕장. 발끝 아래 펼쳐진 570만 본의 보라빛 맥문동 꽃 향이 콧등을 스치고 1만2000 그루 곰솔이 내뿜는 피톤치드로 평온을 찾을 수 있는 산림욕장은 송림숲으로도 알려져 있다. 

 

장항 송림산림욕장의 곰솔과 맥문동 꽂
장항 송림산림욕장의 곰솔과 보라빛 맥문동 꽂
송림숲 소나무 군락은 1.5km 해안가를 따라 길게 이어져 있다. 숲 안에 7km 길이의 솔바람길 산책로와 27ha 면적에 수령 50-70년을 자랑하는 곰솔 군락이 펼쳐져 있는 송림숲은 사계절 푸르름을 선사한다.

해안가를 따라 조성된 장항 송림숲
해안가를 따라 조성된 장항 송림숲
오랜 시간 켜켜이 쌓인 솔가루와 모래가 빚은 산책로는 푹신한 느낌으로 중장년층 탐방객에게도 전혀 부담이 되지 않는다. 이곳 곰솔은 본래 모래날림과 해풍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식재된 인공조림지로 1954년 당시 장항농고(현 장항공고) 학생들이 2년생 소나무를 심어 조성했다. 송림산림욕장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산림청으로부터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됐다.



장항 송림산림욕장의 특징은 산책로 바로 옆에 하얀 백사장을 끼고 있는 바다와 붙어 있다는 점이다. 이곳 백사장은 과거 많은 사람이 북적이는 모래찜질 명소로 유명세를 탔다. 솔향을 따라 천천히 걷다 보면 나타나는 바다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함을 선물한다.

송림산림욕장의 솔바람길 산책로
송림산림욕장의 솔바람길 산책로
산책로를 걷다 숲 아래쪽으로 방향을 정하면 이내 장항스카이워크를 만날 수 있다. 스카이워크는 바다를 향해 자리 잡아 황홀한 서해 일몰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명소다. 높이 15m, 길이 235m로 해안을 가로 질러 바다 위로 이어진 하늘길에서는 빼어난 주변 경치와 기분 좋은 아찔함을 만끽할 수 있다.



장항스카이워크에서 바라 본 서해 노을
장항스카이워크에서 바라 본 서해 노을
스카이워크 중앙에는 기벌포해전 기념비가 우뚝 서 있다. 이곳의 옛 지명인 기벌포는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벌포는 서기 660년 나당 연합군과 백제가 맞붙은 동북아 최초의 국제 전쟁터이자 군사적 요충지였다. 676년에는 신라가 당나라를 상대로 마지막 전투를 벌여 승리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스카이워크 중앙에 설치된 기벌포해전 전망대
장항스카이워크 중앙에 설치된 기벌포해전 전망대

마음 편히 여행을 떠날 수 없는 요즘, 일상의 피로를 풀고 자연이 주는 힐링을 원한다면 장항 송림산림욕장을 찾아 보면 어떨까.

서천=나재호 기자 nakij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