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탄소중립 실현은 산림 종자로부터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기고] 탄소중립 실현은 산림 종자로부터

  • 승인 2021-12-21 16:15
  • 신문게재 2021-12-22 18면
  • 최병수 기자최병수 기자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센터장_최은형_사진
올해는 코로나 팬데믹 여파와 상반기에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조림 확대 정책이 벌채논란을 겪으면서 마음이 무거웠다.

그리고 봄철 냉해, 여름철 잦은 강우와 폭염 등으로 나무의 종자생산량이 감소한 점도 아쉽다.



기후변화가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라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는 걸 실감한다.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목재라는 유기물로 탄소를 저장한다.



시간이 지나 벌채 수확된 나무는 목제품으로 탄소를 계속 저장하게 되며, 그 자리에는 다음 세대의 나무가 자라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탄소흡수 그릇이 커지는 것이다.

이미 UN에서는 나무 심기를 비용대비 효과성이 높고, 빠르고 부작용 없는 탄소 중립 실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1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을 포함한 '신 산림전략'을 발표했고, 이번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도 산림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전략에도 산림 흡수원 활용이 포함되어 있어, 앞으로 나무 심기 노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우선 잘 자랄 수 있는 나무를 심어야 한다.

적지적수(適地適樹), 즉 그 지역에 맞는 나무가 필요한데 나무는 생장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미래의 기후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한반도 평균기온은 1.5도 상승했고, 앞으로 우리 숲의 수종구성이 변한다고 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종자의 품질을 높여서 우량한 묘목을 생산하는 것이다.

규격화된 묘목의 사용은 식재 이후 묘목 초기 생존율과 함께 작업 효율도 높여서 조림의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손이 많이 가던 묘목생산은 농촌의 일손부족과 고령화로 인해 자동화가 많이 진행 중이다.

온실의 환경제어, 자동화된 급배수 시설, 운반장치 등과 함께 규격화된 포트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파종이나 생육관리는 자동화가 더딘 부분이다.

파종이나 생육관리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투입되는 종자의 발아율과 순도 등 품질을 높이고 크기와 모양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번에 준공한 산림종자처리동 '산씨움터'에서 생산되는 종자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수종의 종자를 원스톱으로 처리하고, 대용량 건조, 비파괴 검사를 통한 정밀선별, 종자코팅, 발아촉진 처리 등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종자와 묘목생산에 걸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센터 입구 표지석에는 과거 치산녹화시대의 주역이신 선배님들의 긍지와 자부심이 느껴지는 '산림부국은 우량한 종자로부터'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기후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는 '탄소중립은 우량한 종자로부터'로 바꿔 새기고 차분히 하나씩 준비할 것이다. <최은형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1.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2.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헤드라인 뉴스


‘지역주도-중앙지원 제도화’… 민주당 국가균형성장특위 출범

‘지역주도-중앙지원 제도화’… 민주당 국가균형성장특위 출범

‘5극 3특’으로 불리는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성장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더불어민주당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가 13일 공식 출범했다. ‘지역 주도- 중앙지원 제도화’를 내걸며 정부가 설정한 균형성장 정책 과제를 국회가 조속히 입법해 법제화하고 원활한 추진을 위한 예산 지원을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위원장 김태년) 출범식을 열었다. 출범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김태년 특위 위원장과 강준현·박수현·김영배·이해식 특위 수석부위원장..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