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동네 병의원 코로나 검사 첫날

  • 문화
  • 건강/의료

대전지역 동네 병의원 코로나 검사 첫날

오후 4시 30분까지 검사... 대기 연속
잛은 운영시간에 시민들 불편 이어져

  • 승인 2022-02-03 16:24
  • 신문게재 2022-02-04 5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동네 병의원에서 받을 수 있게 된 첫날부터 혼란이 빚어졌다. 짧은 운영시간 등으로 인해 대기가 길어지면서 시민들이 큰 불편함을 겪었다.

대전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3일부터 대전지역 내 호흡기 전담 클리닉으로 지정된 18곳에서 신속항원검사가 시작됐다.



하지만 신속한 검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짧은 운영시간 탓에 사람들이 몰림과 동시에 대기가 길어지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속출했다.

동구에 거주하는 시민 A씨는 "감기인지 코로나인지 알 수 없어 집 근처 지정 병원을 검색한 뒤 찾아왔지만, 대기가 너무 밀려 검사를 받지 않고 나왔다"며 "오후 4시 반까지 밖에 검사를 받을 수 없어 사람이 몰린 듯 하다. 더 지체할 수 없어 그냥 나왔다"고 말했다.



서구에 거주하는 시민 B씨도 "병원을 찾기 전 병원에 문의 전화를 했지만 전화를 계속 받지 않았고, 전화를 받았으나 오늘 오후 4시 반까지 밖에 검사를 하지 않아서 검사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며 "전담병원을 더욱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표했다.

서구 거주자 C씨도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사람들이 몰린 탓에 오히려 코로나에 감염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안감에 발걸음을 돌렸다"며 "좀 더 완벽한 체계가 갖춰져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병원 관계자들은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해지긴 했지만, 아직 검사 체계를 완벽히 갖추지 못해 원활한 검사가 어렵다고 전했다.

D병원 관계자는 "시간은 정해져있는데 환자들이 계속 내원하고 있어 다소 혼란이 있기는 하지만, 향후 전담 병원이 좀 더 늘어나고 체계가 완벽히 갖춰진다면 무리없이 진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3일부터 고위험군 등 우선검사 대상자만 PCR 검사를 하고 그 외는 호흡기 전담클리닉, 동네 병·의원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로 진행하는 새로운 검사 체계가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우선검사 대상자는 60세 이상 고령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자, 역학 연관자(밀접접촉자·해외입국자·격리해제 전 검사자), 감염취약시설 관련자(요양시설 종사자·외국인보호시설-소년보호기관-교정시설 입소자·휴가 복귀 장병·의료기관 입원 전 환자),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등이다.

그 외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 동네 병·의원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양성이 나온 경우에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현재 대한의사협회는 1월 27일부터 전국 16개 시·도 의사회를 통해 코로나19 진료에 참여할 의원급 의료기관들로부터 신청을 받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명단을 넘겼으며 900여 곳이 신청해 전담 병원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