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다문화] 베트남의 설날 'Tet(뗏)'

  • 다문화신문
  • 서산

[서산 다문화] 베트남의 설날 'Tet(뗏)'

1년중 가장 큰 명절로 2~3주 전부터 준비 시작
화려한 꽃과 나무로 집안 장식, 향 피우고 제사 지내

  • 승인 2023-01-08 16:06
  • 신문게재 2023-01-09 11면
  • 임붕순 기자임붕순 기자
BIN0002.bmp
베트남의 설날 'Tet(뗏)'모습


베트남에도 한국과 같이 민족 대명절이 있는데 음력 1월 1일을 기념하기 위한 명절로 'Tet(뗏)'이라고 부르고 이날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베트남의 '뗏'은 1년중 가장 큰 명절로 2~3주 전부터 준비를 시작하며 화려한 꽃과 나무를 사서 집안을 장식한다. 이때 북쪽은 분홍 복숭아꽃, 남쪽은 노란 살구꽃이 행운을 가져오기 위한 상징이므로 명절에 가장 많이 팔리고는 한다.

그리고 12월 31일과 1월 1일 사이의 새벽시간이 아주 중요한 시간으로 이때는 집집마다 음식을 준비해 상에 올리고 조상의 영혼이 찾아올 수 있도록 향을 피워 제사를 지내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며 새해 좋은 일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또한 다양한 음식을 준비해 친척과 가족이 모여 함께 시간을 보내는데, 이때 선생님 혹은 이웃을 방문해 덕담을 나누고 복을 기원한다. 어린아이들은 어른들로부터 건강과 좋은 학업 성취를 염원한 빨간 봉투를 받는데 한국의 세뱃돈과 비슷한 개념이다.

특히, 이날은 새해맞이로 불꽃축제와 가수들의 공연이 개최되어 볼거리가 많지만 가족들과 함께 명절을 보내는 사람이 다수이기에 문을 열지 않는 가게가 많다. 올해는 가족, 친척들과 다함께 즐길 수 있는 명절이 되길 바란다. 김지영 명예기자(베트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3. 한산한 귀경길
  4.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

  •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