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7.-부여의 맛 종어회와 우어회 맛을 더해 백마강 섞어탕 그 맛에 반하다

  • 문화
  • 맛있는 여행

[맛있는 여행] 7.-부여의 맛 종어회와 우어회 맛을 더해 백마강 섞어탕 그 맛에 반하다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 승인 2023-09-25 09:28
  • 수정 2023-09-26 00:00
  • 신문게재 2023-09-26 8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KakaoTalk_20230925_085343401
구드레나루에서 본 규암과 백마강
대백제전 개막식이 열리는 23일 필자는 차를 몰고 부여군 규암면 맛집을 찾아 '맛있는 여행'을 떠났다.

부여에서 1955년 시작돼 올해 69회를 맞은 대백제전이 공주. 부여 일원에서 9월 23일부터 10월 9일까지 열리고 있다. 대백제전은 공주 금학동이 고향인 필자의 이웃에 사시던 강순태 군수님이 부여 군수 때 시작되었다고 한다. 1955년 4월 부여군민이 부소산성에 제단을 설치하고 백제의 성충, 흥수, 계백 등 삼충신(三忠臣)에게 올리는 제향과 백마강 낙화암(落花巖)에 몸을 던진 삼천 궁녀의 넋을 위로하는 수륙재가 거행되면서 오늘의 대백제전이 시작되었다. 백마강 구드레나루터에는 대백제전을 준비하는 돛단배들이 떠 있다.



백마강은 전북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神舞山, 897m)에서 발원한 이후 비단강이라 불리는 금강 서쪽으로 흘러서 공주에 이르러 유구천(維鳩川)과 합류한 뒤 남류해 부여군으로 들어와 백마강이라 불리게 된다. 부여 부근에서 다시 은산천(恩山川)과 금천(金川), 강경 부근에서 논산천(論山川)과 합류한 이 강은 충남과 전북의 경계를 이루며 유로연장 397.79㎞를 서해로 들어간다.

KakaoTalk_20230925_085345657
삼충신 위패를 모시러 망월산 의열사지 짚차를 타고 가는 강순태 부여군수
백마강을 사이에 두고 부여와 맞닿아 있는 금강을 건너 부여로 들어가는 중요한 교통로이면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을 규암(窺巖)이라고 한다. 이 규암(窺巖)을 한글로 번역하면 '엿볼 바위'라는 뜻인데,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 부여를 침공할 때 바위 뒤에 숨어서 적정을 엿보던 병사가 사비성에 소식을 알렸다는 일화와 함께 이곳에는 예부터 나루터가 있었고, 이 규암나루터에는 물길을 따라 오가던 보부상들이 머무르며 상권과 도시가 형성된 곳이다.



이곳에는 백제 왕이 오갈 때 스스로를 따뜻하게 데워 쉬어가게 했다는 '자온대(自溫臺)'가 있는데, 강 절벽에 송시열의 글씨로 '자온대(自溫臺)'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자온대(自溫臺)'위에는 조선 광해군 때 양주목사(楊州牧使)를 지낸 수북정(水北亭) 김흥국(金興國1557-1623)이 벼슬을 버리고 은거할 때 건립한 정자(亭子)가 있는데, 수북정(水北亭)은 김흥국의 호를 따 지은 이름이다. 자온대(自溫臺) 바로 밑에는 나룻배를 운행하였고, 그 하류에는 강경을 왕래하는 돌배(수백 톤급의 동력선)과 상선이 사용하는 규암나루가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신작로가 뚫리면서 규암나루터에서는 버스와 차량을 실어 나르는 넓적 배 즉 바지선이 운행되었다. 또 일제강점기에는 나무배 수십 척을 연결한 배다리를 놓아서 평소에는 사람과 우마가 통행을 했으며, 홍수로 유실된 후에는 나무다리 및 철선을 연결한 철배다리를 놓아 도강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KakaoTalk_20230925_085342937
버스를 실어나르는 규암나루터의 바지선
규암(窺巖) 오일장은 3일과 8일에 열렸으며 군산과 강경을 잇는 정기여객선이 규암나루까지 연장 운행되었다고 하며, 만조 때에는 바다의 물이 거슬러 올라와서 사리 때에 새우젓과 소금을 실은 큰 상선이 조수를 따라 거슬러 올라와 나루터에 정박한 채 곡식을 사 가지고 내려갔다. 그러다 보니 쇠전, 모시전, 포목전, 싸전, 어물전이 열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80~90년 대까지만 해도 규암에는 민물매운탕을 비롯한 음식점들이 성황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규암에는 규암나루터 인근에서 민물고기를 잡는 어부와 음식점들이 꽤 있었다고 한다.

부여의 맛 하면 종어회와 우어회가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 필자는 부여에서 유명했던 종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글을 써 놓고 종어 사진을 구하려 충남내수면연구소 등을 방문했지만 아직 구하지 못했다. 종어는 멸종된 어류로 부여군은 물론 충청남도에서 관심을 가지고 양식 등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대중음식점에 보급할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종어는 몸길이가 보통 20cm에서 50cm 정도지만 최대 크기가 90cm 이상 자란다고 한다.

이것에 재미있는 자료가 있다. 1530년(중종 25)에 왕명으로 편찬한 관찬(官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부여현(扶餘縣) 고적조(古蹟條)에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이 바위에서 용을 낚았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나당연합군에 의해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된 뒤, 어느 날 대왕포(大王浦) 하류에 갑자기 태풍이 불어닥쳐 규암진(窺巖津)에서 낙화암까지 늘어서 있던 수백 척의 당나라 병선이 순식간에 뒤집혀 침몰하고 말았다. 소정방이 괴변이 일어난 까닭을 일관(日官)에게 물으니, "이것은 백제를 지켜온 강룡(江龍)이 화를 낸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소정방이 다시 강룡을 잡을 방법을 물으니 일관은 "용이 좋아하는 백마를 미끼로 하여 낚는 것이 좋다"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소정방은 강 가운데 있는 바위 위에서 쇠로 만든 낚시에 굵은 철사를 낚싯줄로 하여 백마 한 마리를 미끼로 달아서 던져 놓았다. 그러자 용이 백마를 삼켜서 소정방에게 잡히게 되었다고 한다. 훗날 사람들은 소정방이 용을 낚았다고 하는 이 바위를 조룡대(釣龍臺), 용을 낚을 때 백마를 미끼로 썼다고 하여 이 일대의 강을 백마강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큰 물고기'를 한자로 '어룡(魚龍)'이라고 한다. 소정방이 어룡을 낚은 것이 와전되어 용을 낚았다고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KakaoTalk_20230925_085344498
빠가사리
필자는 '어룡(魚龍)'이 부여의 향토 민물고기 종어가 아닌가 추측해 본다. 어쨌든 부여의 맛 하면 이 종어회와 우어회가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어회는 봄이나 맛볼 수 있으며 종어회는 멸종되어 부여를 비롯한 어느 곳에서도 맛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만 부여군에서는 종어의 치어를 방류하기도 하고 양식을 위해 예산도 확보하면서 종어요리 경연대회를 통해 향토음식 개발에 앞장서는 것으로 보아 머지않아 부여에서 종어의 맛을 볼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을 가져 본다.

우어는 청어목 멸치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길이가 30~40센치 정도 된다. 성질이 얼마나 급한지 잡히자마자 죽어버린다. 1400여 년 전 백제의 마지막 왕이었던 의자왕이 평소에 우어를 즐겨 먹었다. 백제가 함락당한 후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우어를 잡아 오라 명령했다. 백제의 왕들이 먹은 물고기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많던 우어가 잡히지 않았다. 연고를 알아보았다. 한강이나 금강의 우어들이 적장의 먹거리가 될 수 없다고 의논한 후, 뱃전에 머리를 부딪쳐 모두 죽어버렸다고 한다. 옛 임금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해 우어가 백제지역에서 모두 달아나버렸다고도 했다. 이 때문에 의리 있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우어는 의어(義魚)라 부르게 되었다. 이런 연유로 우어는 왕이 살던 곳을 그리워한다는 전설도 생기게 됐다. 그래서 그런가 봄이면 한강 행주나루에 위어소(葦魚所)를 설치하고 우어를 잡아 왕의 수라상에 올렸다고 한다.

우어는 이 외에도 우여(강경), 웅에(의주), 차나리(해주), 우어(부여), 도어, 제어, 열어, 멸어, 망어 등의 다양한 이름들이 있다. 보통 우리말로는 '웅어'라 하고 한자로는 위어(葦魚)라고 한다. 새끼는 '모롱이'라고 한다. 숭어의 새끼를 '모갱이'라 하는 것과 비슷하다. 국어사전에서는 웅어의 옛말을 '난셰끼노리'라고 한다. 한자말 웅어(熊魚)는 드렁허릿과의 민물고기를 뜻하는 이름이기 때문에, 위어(葦魚)인 웅어와 구별된다.

KakaoTalk_20230925_085345275
백마강 식당
종어회나 우어회를 맛 볼 수 없어 아쉽기는 하지만 부여 규암면의 맛집으로 소문난 백마강식당(대표 최상윤,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로11)을 찾았다. 백마강식당의 최상윤 대표는 규암의 토박이다. 이곳에서 오랫동안 민물매운탕 집을 운영해 온 그는 백마강에서 고기를 잡는 어부들과 가까워 자연산 민물고기를 쉽게 구 할 수 있어 우어를 비롯한 자연산 민물고기를 구입해 요리하고 있다.

특히 종어는 최 대표도 딱 두 번 구경하고 맛을 봤다고 하는데, 마치 상어처럼 생겨 크기도 크기지만 그 맛이 아주 좋았다고 한다.

우어는 3월에서 5월까지만 맛을 볼 수 있는 어종이다. 그런데 백마강식당에 '햇 우어회 개시'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KakaoTalk_20230925_085344177
섞어탕
필자는 우어회가 제철에 못 먹으면 일 년을 후회한다는 것을 아는지라 우어회는 내년 봄에 맛을 보며 상세히 쓰기로 하고 백마강식당의 시그니쳐 메뉴인 '섞어탕'을 시켰다. 백마강식당의 '섞어탕'은 메기, 빠가사리, 민물 게, 민물새우가 들어가는데, 민물고기 탕의 진수라 하겠다. 이 집 '섞어탕'은 단순히 맛있다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민물새우와 민물 게에서 우러난 감칠맛과 구수한 맛이 입안을 황홀하게 한다.

특히 이 집의 민물고기들은 백마강에서 어부들이 직접 잡아 공급하는 자연산이라 '섞어탕'에 들어간 메기와 빠가사리가 탱탱한 것이 식감이 찰지고 부드럽다. 주메뉴의 맛도 좋지만 여주인의 깔끔한 외모만큼이나 밑반찬들도 꽤나 정갈하다.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