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43. 공감 회복은 시대적 과제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43. 공감 회복은 시대적 과제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3-11-09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우리 사회에서 '공감'이 급속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회 지도자나 성직자처럼 사회 구조를 바로잡으려 애쓰는 사람들은 공감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공감을 가로막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고 개탄하였습니다. 그래서 미국이라는 나라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공감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을 했지요. 뿐만 아니라 철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는 문명이 붕괴하고 지구가 살릴 수 없는 지경이 되기 전에 전 지구적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지요.

이렇게 '공감의 시대'라는 말이 세계적인 화두가 된 지 오래입니다. 사전적 의미로 '공감'은 '타인의 사고(思考)나 감정을 자기의 내부로 옮겨 넣어, 타인의 체험과 동질(同質)의 심리적 과정을 만드는 일'이라고 정의합니다. 타인의 경험과 이야기에 눈높이를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며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본다는 것은 역지사지(易地思之)와도 통하는 말입니다.



공감은 인간 사이의 벌어진 거리를 뛰어넘게 하는 정신의 초능력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친절한' 행위가 밑바탕이 되는 것입니다. 친절함이란 대가를 치르면서도 타인을 도우려는 성향을 말하는데 이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생존 기술 중 하나지요.

그러면 왜 공감을 느껴야만 하나요? 인간은 흩어진 개인일 때는 보잘것없는 존재지만, 함께 뭉치면 굉장한 존재가 됩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공동체 의식이 높고, 자선활동에 더 많이 기부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자주 합니다.



대표적으로 세계적인 토크쇼의 여왕으로 불리던 오프라 윈프리입니다. 그는 25년 동안 토크쇼를 진행해 왔는데, 많은 상처를 간직한 흑인 여성이 어떻게 그토록 긴 세월 동안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손꼽힐 수 있었을까요. 그녀의 비법은 바로 '공감의 능력'이었습니다. '당신과 나는 똑같은 약자'라는 자세로 상대방과 완벽하게 공감하는 그녀의 능력 앞에 전 세계 유명 인사들은 단 몇 분 만에 무장 해제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윈프리는 우리 모두에게 공통된 소망은 "자기 자신이 가치 있게 여겨지고 싶다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누군가가 우리를 사랑하고 필요로 하고 이해하고 인정해 주기를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갈망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생각을 몸소 실천한 것입니다.

오프라 윈프리는 이와 같은 상대에 대한 배려뿐만 아니라 기부활동도 많이 했습니다. '남아공 윈프리 여학교'를 4000만 달러(520억 5800만 원)나 들여 세운 것을 비롯, 상당한 재산을 어려운 사람들에게 기부하여 그녀는 '돈 쓸 줄 아는 부자'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저에는 그의 공감 능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심리학적인 견해에 의하면 어린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더 본능적인 공감 능력과 균형 감각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욕망과 상처, 콤플렉스가 덧대어지면서 뭔가가 뒤틀리게 되고 이러한 부적절한 욕망들로 인해 공감의 능력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공감은 지능이다'의 저자 자밀 자키 스탠퍼드대 교수는 공감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기술이고 노력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감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최선이자 최후의 희망이다"고 했지요. 그렇다면 어렸을 때 가졌던 공감 능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꾸준히 키워나가야 합니다. 우리, 살면서 주위에 공감을 구축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아야 하겠습니다.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4.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5.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헤드라인 뉴스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지연으로 실질적인 관세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 수출기업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인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를 갖고 관세·안보 협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세부 합의 내용은 거의 마무리됐으며, 팩트시트는 2~3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팩트시트는 발표되지 않았고 25%의..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