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악신경분(嶽神驚奔)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악신경분(嶽神驚奔)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4-02-28 17:08
  • 수정 2024-02-28 19:43
  • 신문게재 2024-02-29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백남우
백남우 회장.
대전시 동구 세천동에는 세천 체육공원이 있다. 이 세천 체육공원에 들어선 국궁장을 끼고돌아서 잡목과 덤불로 뒤덮인 평지를 따라가면 작은 산자락 아래 거의 묻혀 가는 아치형의 구조물이 보인다. 이곳은 1905년 경부선철도 개통 시 만들어진 것으로 1919년까지 사용되다가 철도 선형 개량으로 폐쇄되어 100여 년간 방치된 증약 터널의 입구이다. 이 터널은 건축 당시

의 형태가 남아있어 당 시대의 구조 양식이나 건축 기술을 엿볼 수 있는 건축사적, 철도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업 유산의 가치를 지닌다. 이 터널 입구에는 '악신경분'(嶽神驚奔)이라는문구가 쓰인 액석을 볼 수 있다. 이 글씨는 한일 의정서와 을사늑약 체결에 깊이 관여한 조선침략의 원흉인 특명전권공사 하야시곤스게(林權助)의 글씨이다.

경부선철도는 1901년 8월 영등포와 9월 초량에서 착공한 일본은 러일전쟁이 임박한 1903년 12월 28일 추밀원 회의에서 경부선철도 건설은 전투함 1척이나, 군인 1개 사단 증설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결정했다. 일제는 1년 내 완공하라는 경부선철도 속성 긴급칙령을 하달하였다. 이에 따라 세천~옥천 사이 약 1㎞ 구간에 3개의 터널을 뚫어 거리를 1/2로 단축하려고, 속성

공사 구간으로 결정하자 주민들은 산신이 노하여 지역이 피해를 볼까 두려워하였다. 당시 공사 중 일본인의 한국인 주민들과 잦은 분규에도 터널 공사를 강행하였고 터널 완공 후 '악신경분'이라는 액석을 터널 입구에 매달아 놓은 것이다. '악신경분'의 뜻은 '너희들이 신령스럽게 받들던 산신은 놀라 달아나 버렸다'는 뜻으로 어려웠던 공사를 마친 성취감과 당시 우리의



산신신앙에 대한 비아냥 섞인 문구이다.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산을 맡아 수호하고 있다는 신령을 믿는 전통이 있었다. 산신은 농경민에게 물이나 비를 내리는 강우신이나 풍산신의 성격을 띠고, 유목민에게는 대체로 사냥감

을 풍부하게 내리는 은혜자이면서도 노여움을 내는 존재이다. 또한, 인간에게는 아이를 가져다주는 신이자 그 생명을 악귀들로부터 보호하는 수호신이었다. 산신의 신체는 호상과 신선상이며, 산신에게 제사하는 일을 산제, 산신제라고 한다. 우리 민족은 일찍부터 산신제를 지냈으며, 지금까지도 그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산을 신성시하는 우리의 의식은 천신 신앙과 관계가 깊다. 이러한 신앙과 관계되는 것이 '소도'라고 하며, '솟대'로 표시되는 신성불가침지역이다. '소도(蘇塗)'의 현재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성지(聖地)'라고 되어 있다. 여기에 신단(神壇)을 설치하고, 그 앞에 방울과 북을 단 큰 나무를 세워제사를 올렸는데, 죄인이 이곳으로 달아나더라도 잡아가지 못하였으며, 후대 민속의 '솟대'가여기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한다. 소도에는 나무를 세웠는데 그 나무에는 방울과 북이 매달려있다. 그것은 신목이자 세계목이고 우주목이다. 방울과 북은 무당들이 의례에 사용하는 무구이다. 즉 이곳은 제정일치 사회에서 제의를 행하는 곳이다. 기다란 나무를 세우는 풍습은 청동기 시대부터 있어 왔다. 대전 근교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 유물인 농경문 청동기에 새 모

양의 장대가 뚜렷이 새겨져 있다.솟대 신앙은 천신신앙과 관계가 깊다. 고조선을 세운 단군의 어버지 한웅은 태백산 꼭대기신단수를 통해 땅으로 내려왔다. 태백산과 신단수가 자연 그대로의 '우주산'과 '우주 나무'라면 소도와 나무 장대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에 만들어 세운 '우주산'과 '우주 나무'였다. 솟대는 천계와 이어지는 통로의 의미이며 솟대 위의 새는 셔먼의 수호령이나 외부로부터 성소를보호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솟대는 신목이나 마을의 당목으로 그 우주목의 성격을 계승해 온

다. 새를 얹힌 솟대도 농경 마을의 신앙체계로 편입되면서 벼농사를 하는 마을의 안녕, 수호,풍요 등을 지켜주는 마을 수호신으로 솟대로 자리 잡는다. 정월 보름 탑제·거리제 등 행사가연중행사처럼 행해진다. 그러나 조상들이 경외시했던 신령이 깃어 살던 산들은 산책로나 둘레 산길 등으로 구석구석 등산로로 뚫려있다. 산에 깃들어 있던 산신령들은 철도개통과 더불어 놀서 달아난 것인지 모르겠다. 우리 주위에 아무도 범할 수 없는 신성불가침의 소도와 같은 신령이 깃든 산 하나쯤 있었으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덕공동관리아파트 이재명 정부에선 해결될까… 과기인 등 6800명 의지 모여
  2. 대전 죽동2지구 조성사업 연내 지구계획 승인 받을까
  3. '팔걷은 대전경찰' 초등 등하굣길 특별점검 가보니
  4. 충남대병원 등 48개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5. 대전대, 70대 구조 중 숨진 故 이재석 경사 추모 분향소 연다
  1. 대전교도소 금속보호대 남용·징벌적 사용 확인…인권위 제도개선 주문
  2.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3. [2026 수시특집-대덕대] 교육수요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직업교육 중심 대학
  4. 대전 대학생 학자금대출 ‘늘고’ 상환 ‘줄고’… 취업난에 연체 리스크 커졌다
  5. 최교진 부총리, 현창 첫 일정으로 금산여고 찾아 '고교학점제 점검'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이재명 정부가 16일 국정과제를 확정한 가운데 이에 포함된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로드맵을 내년 지방선거 전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가균형발전 마중물인 이 사안을 두고 선거용으로 활용한 역대 정부 전철(前轍)을 되풀이 하지 않고 이재명 정부 균형발전 의지를 증명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1호 국정과제인 개헌 추진과 관련해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수도조항 신설을 정치권에 촉구하는 것도 충청권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국내 탑클래스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첫 생산 기지 조성에 시동을 걸면서 대전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전과 인천 송도 중 신규 공장 부지를 놓고 고심하는 알테오젠을 지역으로 끌어오기 위해 행정당국은 지속해서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국내 굴지의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 생산기지 확보는 고용창출과 세수확충 등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에 본사를 둔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자체 공장 건립에 나선다. 현재 알테오젠은 자체 생산 시설이 없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외식비 인상이 거듭되며 삼계탕 평균 가격이 1만 7000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지역 외식비는 전국에서 순위권에 꼽히는 만큼 지역민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대전 외식비 평균 인상액은 전년 대비 많게는 6%에서 적게는 1.8%까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건 김치찌개 백반이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8월 1만 200원으로, 1년 전(9500원)보다 7.3% 상승했다. 이어 삼계탕도 8월 평균 가격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