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189강 조고각하(照顧脚下)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 189강 조고각하(照顧脚下)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4-03-0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89강:照顧脚下(조고각하) : 자기 발 아래를 잘 살펴라.

글 자 : 照(비출 조) 顧(돌아볼 고) 脚(다리 각) 下(아래 하)이다.

출 처 : 삼불야화(三佛夜話) 선화(禪話)

비 유 : 삶 전체를 돌아보되 눈앞에 닥친 현실을 잘 인식하고 대처함





짐승은 죽음에 이르면 순해지고 사람은 죽음에 가까워지게 되면 순수하고 착(善)해진다고 한다. 그리고 사람은 죽음에 이르면 지난 날을 후회하고 반성한다. 그 중 임종(臨終)전 제일 많이 후회하는 것이 가족을 사랑하지 못한 것과 남에게 베풀지 못한 삶이라 한다.

먼지 낀 거울이 사물의 모습을 제대로 비출 수 없듯이 잡념(雜念)에서 벗어난 맑은 정신(精神)이 생기기 전에는 집착(執着)과 욕심(慾心)이라는 먼지가 가득 낀 마음 때문에 사랑이나 베풂이 자리할 여지가 전혀 없다.

유교 경전인 논어(論語) 태백(泰伯)편에 기록된 증자(曾子)의 가르침을 주목해 본다.

'鳥之將死其鳴也哀 人之將死其言也善(조지장사기명야애 인지장사기언야선/ 새가 장차 죽을 적에는 그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장차 죽을 적에는 그 말이 선하다.)'

이른바 새는 죽음을 두려워하므로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은 궁(窮)하면 근본(根本)으로 돌아감으로 그 말이 착(진실)한 것이다.

사람은 평상시 살아가면서 이상과 현실을 착각하고 살아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곧 자기 분수나 가까이 있는 처지를 생각하지 못하고, 항상 멀리 있는 망상(妄想)과 허상(虛想)을 꿈꾸며 고통스러워하고 또 남을 넘어서려고만 하고 있다.

여기에 조고각하(照顧脚下)라는 교훈은 사람이 자신의 발 아래를 살피려면 고개를 숙여야 하듯 겸손(謙遜)하고 스스로를 낮추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기도 하다. 제아무리 지위가 높아도 자신의 신발을 벗고 신으려면 고개를 숙이지 않을 수 없다. 놓치기 쉬운 사소한 것들의 중요성과 자신의 성공만을 위해 절친한 사람을 저버리는 사람들에게 큰 울림이 되는 좋은 교훈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송(宋)나라 때 오조(五祖)법연선사(法演禪師)밑에 삼불(三佛) 제자(弟子)가 있었다. 불감(佛鑑)혜근(慧懃), 불과(佛果)극근(克勤), 불안(佛眼)청원(淸遠)스님이 바로 그분들이다.

어느 날 세 분의 제자와 법연선사께서 밤길을 멀리 갔다가 오는 길에 손에 들고 있던 등불이 바람이 세차게 불자 꺼지고 말았다. 어둠을 밝혀 주었던 등불이 꺼지자 칠흑(漆黑)같이 캄캄해서 앞뒤를 분간(分揀)할 수가 없는 지경에 처했다. 스승인 법연스님이 세 제자에게 "그대들은 어떻게 하면 되겠는가?" 하고, 묘책(妙策)을 물었다. 그동안 수행(修行)한 지혜(智慧) 경지(境地)로 이 난관(難關)을 헤쳐 나갈 방법을 말하라는 것이다. 그러자 불감혜근이 채색 바람이 붉게 물든 노을에 춤을 춘다,(彩風舞丹宵)라고, 대답하자, 불안청원 스님은 쇠 뱀이 옛길을 건너가네,(鐵蛇橫古路)라고 대답을 했다. 마지막으로 불과극근 스님은 조고각하(照顧脚下)라고 말했다. 곧 각자 발밑을 조심히 살펴서 걸으라는 말이다.

앞을 분간할 수 없는 칠흑 같은 어둠에 놓였을 때는 멀리 볼 수가 없다. 그리고 비록 먼 곳에서 가느다란 불빛이 보인다고 해도 자칫 발을 헛디뎌 수렁에 빠지거나 벼랑으로 떨어진 다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 그 어둠 속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해야 할 것은 오로지 자신의 발 밑을 잘 살펴야한다. 먼 곳의 빛에 시선을 빼앗겨서는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오늘을 사는 우리들을 한번 둘러보자.

자신의 발 밑을 보기보다는 높은 빌딩이나 나보다 앞서간 사람의 뒷모습만을 보며 살아가지는 않는지! 혹 ?생각이 나 자신에게 향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이룬 것을 쫓아 자신의 욕망(慾望)을 부채질하고 살아가지는 않았는지…!

많은 사람들이 이와 같은 삶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아마 진실 된 본인의 양심으로 돌아볼 때 자신 있게 답할 수 있기 어려울 것이다.

나에게 가장 가깝고, 가장 작은 일이 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므로 잘 살펴야한다.

명심보감(明心寶鑑) 권학편(勸學)편에 순자(荀子)가 주는 교훈이다.

'不積?步無以至千里 不積小流無以成江河(부적규보무이지천리 부적소류무이성강하/ 반걸음을 쌓지 않으면 천 리에 이르지 못할 것이요, 작은 물(실개천 물들)이 모이지 않으면 강하(양자강이나 황하 같은 큰 강)를 이룩하지 못한다.'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시작됨은 우리 속담에 흔히들 쓰여지는 말이기는 하나. 강을 건너기 위한 징검다리는 다 건너기까지 내 발 밑에 하나씩 놓아야 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마음에 큰 뜻을 품은 사람일수록 작고 사소한 일에 흐트러짐이 없도록 태도를 갖추고 인내로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

1911년 영국 출신의 스턴트맨 바비 리치가 나이아가라 폭포 위에 섰다. 강철 드럼통에 몸을 싣고 폭포 아래로 뛰어내렸다. 골절상을 입고 병원 신세를 졌으나 다행히 살아남았다. 하지만 그는 1926년 뉴질랜드에서 길을 걷다가 오렌지 껍질에 미끄러져 다리에 심한 골절을 입었다. 상처 부위에 세균이 침투하는 바람에 다리까지 절단해야 했다. 결국 두 달 후 그날의 사고 합병증으로 죽고 말았다.

그리고 알프스산을 올랐던 어떤 세계적 산악인은 자기 집 담장을 넘다 발을 헛디뎌 다리가 부러졌다. 또 백수의 왕 사자가 제일 무서워하는 것은 모기라고 한다. ?대개 사람들을 다치게 만드는 것은 이렇게 작고 사소한 일이다. 조고각하(照顧脚下)라는 말처럼 자기 발밑을 조심해야 한다. 불의의 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내 주변부터 잘 살펴야 한다.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들이 대중의 지탄을 받는 것도 큰일을 잘못한 경우보다 자신의 주변관리를 잘못한 경우가 더 많다. 자기의 사소한 잘못이나 자녀들의 비행이 주된 요인이다. 비단 유명 인사들뿐이랴. 일반인들의 삶도 마찬가지다. 나의 작은 말 한마디로 부부관계에 금이 가고 가정의 평화가 깨어진다.

작은 돌뿌리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은 있어도 큰 산(山)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은 없다. 닫힌 마음의 문을 여는 지혜. 직면한 자신의 현실을 돌아보고 작은 일부터 닫힌 마음의 문을 여는 지혜가 자신을 살리고 사회를 살찌게 하고 나라를 평안하게 할 것이다.

쉬운 말로 '신발속의 작은 돌맹이'를 잘 관찰하고 관리 할 때 큰 장애물도 관리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요즘 공천파동으로 시끄러운 정치판이 더욱 새겨야 할 소중한 덕목(德目)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2.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3. 공장·연구소·데이터센터 화재에 대전 핵심자산 '흔들'… 3년간 피해액 2178억원
  4. 대전 대덕구, 자살률 '뚜렷한 개선'
  5. 대전 서구, 간호직 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으로 전문성 강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