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반려동물 천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 오피니언

[기고] 반려동물 천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

  • 승인 2024-03-25 17:02
  • 신문게재 2024-03-26 18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정용래
정용래 유성구청장.
숙종은 소문난 애묘인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숙종은 참배하러 가는 길에 굶주린 고양이를 발견했다. 궁으로 데려와 털이 노랗다 하여 금덕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애지중지 키웠다. 금덕이 새끼를 낳고 죽자, 새끼를 금손이라 부르고 또 정성을 다했다. 식사할 때면 고기반찬을 직접 나눠 먹이고, 집무 시간에도 늘 곁에 두었다고 한다. 임금의 마음이 전해진 것일까? 1720년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금손이도 며칠 동안 음식을 끊고 슬프게 울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성종의 동물 사랑과 관심도 유난했던 모양이다. 낙타 수입을 추진했다가 신하들이 "백성들이 어려움에 빠져 있는데 수입 비용이 너무 과하다"고 반발해 포기했다고 한다. 궁에서 키우던 원숭이에게 흙집과 옷을 만들어 주려다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좌부승시 손비장은 "성상께서는 애완동물이나 좋아하는 임금으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성종은 "내가 애완동물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발 물러섰다. 시대적 상황으로 커밍아웃은 못 했지만, 이 정도면 못 말리는 동물애호가라 불릴 만하다.



궁궐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동물과 얽힌 이야기가 많다. 주인 목숨을 구한 충견(忠犬)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실제 충북 음성에는 세조 즉위의 일등공신이었던 권람의 묘소 옆에 충견총이 있다. 산불이 나자 자기 몸에 물을 묻혀 권람을 살렸다는 개의 무덤이다. 호주나 미국 등에서 대형산불이 나면 야생동물의 극적인 생존기가 전해진다. 지난 2019년 호주 퀸즐랜드주 산불 현장에서 불에 그을리면서도 어린 새끼를 품에 꼭 안고 살린 어미 코알라의 사연에 전 세계가 감동했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가 1,000만 명을 훌쩍 돌파했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거주지에서 반려동물을 직접 양육하는 가구 비율은 25.4%, 양육 인구는 1,306만 명에 달한다.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것이다. 양적 증가만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대하는 인식도 많이 변했다. 귀엽고 즐거움을 주는 대상에서 같이 살아가는 반려자, 가족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반려동물과 아파트 산책로나 공원을 거닐고, 여행도 함께 가는 모습은 이제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1인 가구 급증, 인구 고령화 등이 '반려동물 인구 천만 시대'를 재촉한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유성구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발맞춰 올해도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반려동물 천만 시대,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먼저 죽동에 사람과 동물이 함께 즐기는 반려동물 놀이터를 조성한다. 800㎡ 규모로 조성되는 반려동물 놀이터에는 벤치, 파라솔, 놀이기구 및 휴식 공간 등이 들어선다. 또한, 내장형 동물 등록 지원과 동물단체, 동물병원 등과 협력해 유기동물 구조사업을 펼친다. 사회적 약자 1명 당 20만 원의 반려동물 진료비를 지원하고, 명예동물보호관 위촉, 임시보호,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벌인다.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한 반려동물 문화교육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

모든 사회적 현상에는 빛과 그림자가 공존한다. 반려동물 천만 시대도 그렇다. 빛의 밝기를 더하고 그림자의 어둠을 최소화하는 게 지방정부의 책무다. 유성구가 반려동물 정책에도 팔을 걷는 이유다. 동시에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나와 이웃, 바로 공동체를 위한 일이기 때문이다. 애묘인이었던 숙종, 동물애호가였던 성종이 지금 시대에 살았다면 어떤 정책을 폈을지 궁금하다. 최소한 "동물을 대하는 수준이 그 나라의 수준"이라는 말에는 깊이 공감하지 않았을까?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충북·제주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 서울 19주 만에 하락
  3.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3.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안전상식 대표주자를 가려라… 재미난 퀴즈 풀며, 치열한 경쟁 `안전의식 UP`
안전상식 대표주자를 가려라… 재미난 퀴즈 풀며, 치열한 경쟁 '안전의식 UP'

충남 안전골든벨 왕중왕전을 향한 홍성군 예선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홍성군과 중도일보가 주최하고 홍성교육지원청, 홍성경찰서·소방서가 후원한 '2025년 제1회 홍성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20일 홍성 홍주문화체육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205명의 홍성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사회자는 "안전지식엔 연령이 없다"며 "다른 지역에선 저학년이 골든벨을 울린 적도 있다며" 긴장한..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