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과 부모 150명 아쿠아리움 봄나들이 성료…장애인 문화활동 이바지

  • 사회/교육
  • 미담

장애아동과 부모 150명 아쿠아리움 봄나들이 성료…장애인 문화활동 이바지

대전웰니스병원+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 공동
장애아동과 부모 초청해 휴식과 치유 제공

  • 승인 2024-04-23 17:51
  • 신문게재 2024-04-24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7045
대전웰니스병원과 엑스포아쿠아리움이 공동으로 장애아동과 부모를 초청해 응원하는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웰니스병원이 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과 함께 지역 내 장애아동과 부모 응원 프로그램 일환으로 수족관에서 휴식과 치유의 시간을 가졌다.

대전웰니스병원은 소아치료실과 소아낮병동 외에 영유아 집중치료실과 발달지연 외래센터를 운영하는 대전 유일 어린이 재활의료기관이다. 하루 중 6시간을 병원에서 입원해 집중재활을 받고 가정으로 귀가하는 소아 낮 병동과 대전시교육청과 연계해 치료 기간에 병원 내에서 정규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파견학급을 운영 중이다.

이날 문화활동은 지역 내 장애를 가진 아동과 가족들이 그동안 제한되었던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자는 김철준 병원장 취지에 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이 공감하면서 이뤄지게 됐다.

22일 오후 5시 신세계백화점 지하 1층에 위치한 아쿠아리움에 장애·발달지연 아동과 가족 150명이 방문해 수족관을 2시간 가량 관람했다. 이곳 아쿠아리움은 4200t 규모에 300여 종 3만여 마리의 수중생물을 관람할 수 있는 곳으로 그리스 신화를 모티브로 다양한 볼거리를 즐길 수 있다. 이날 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은 메인 수조에서 이뤄지는 수중공연을 장애 및 발달지연 아동과 가족들이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좌석 전체를 배정했다. 몸이 불편한 아이들도 바닥에 방석을 깔고 편안하게 앉아 수조 안에서 이뤄지는 공연을 바라보며 즐거워했다.



공연 관람을 마친 뒤에는 가족 단위로 아쿠아리움 수중생물을 바라보며 편안한 시간을 보냈다. 이날 문화행사에 만 3세 아이와 함께 참여한 부모 A(37) 씨는 "아이가 발달지연으로 치료와 재활을 받는 중에도 물고기 보는 것을 좋아했는데, 오늘 비슷한 진료를 받는 아이들이 함께하는 동안 한결 편안하게 여기는 것 같고 더 크게 웃는 표정을 보았다"라며 "배려해주고 저희를 생각하는 마음이 느껴져 뭉클하다"라고 감상을 전했다.

정수현 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 홍보이사는 "휴식과 치유의 공간에서 서로 존중하는 문화가 싹트기를 바라는 저희 아쿠아리움의 설립 취지를 실천하고자 장애 아동과 부모를 초대했다"라며 "수족관 앞에 앉아서 천천히 생각에 잠기고 대화하는 관람객들의 모습을 보았고, 공익적 문화활동에도 계속 참여하겠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3.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4.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5.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1.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2.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3.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4.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헤드라인 뉴스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9월 22일부터 지급할 예정인 제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고액 자산가를 제외하고 가구별 특성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사용처를 생활협동조합 등으로 확대하고, 군 장병이 근무지 인근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2일 국회에서 행안위 당정 협의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2차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 2021년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와 마찬가지로 가구별 건강보험료를..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에 필요한 비용이 32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6년 해양수산부 전체 예산안 7조 3279억 원의 약 4.4%를 차지한다. 예산 총액은 전년의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전국 지방자치단체 3곳 중 1곳이 기준금리(2.5%)보다 낮은 금리로 은행 금고에 여유자금을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과 세종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평균 이자율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 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43개 지자체 금고 예치금은 95조 9844억 원, 이자수입은 2조 8925억 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이자율은 2.87%로 기준금리 2.5%를 약간 웃돌았다. 그러나 79개 지자체는 여전히 기준금리에도 도달하지 못..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