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미술 아카이브] 34-196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재경 충남미술 학우회전'

  • 오피니언
  • 대전미술 아카이브

[대전미술 아카이브] 34-196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재경 충남미술 학우회전'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 승인 2024-04-24 09:40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18_재경충남미술학우회전.1960.01
《재경 충남미술 학우회전》 리플렛, 1960 (이미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1960년 1월 20일부터 26일까지 대전문화원화랑에서 《재경 충남미술 학우회전》이 개최됐다. 충남미술학우회 주최로 충남미술협회, 대전일보사, 중도일보사, 대전문화원, 대전방송국 등 대전지역 미술문화계를 비롯해 언론사, 방송사 등의 후원을 받은 주목받는 전시였다.

재경충남미술학우회 일동은 인사말씀에 "경자(庚子年) 새해에 창립을 본 이 학우회가 이번 그 첫 번째 학우작품전을 대전에서 여러 선배 선생님께 내 뵙게 되었습니다"라며 "아직 예술의 테두리를 밟아드는 젊은 이 학우전에 여러 가지 미비한 점이 많사오나 후배 육성에 많은 지도편달 있으시기 바라옵니다"라고 하였다. 출품에는 명관범, 유희영(1940~ 충남 서천출생, 서양화가, 서울대), 오태학(1938~, 충남 부여출생, 한국화가, 홍익대), 이용휘(1937~2016, 충남 부여출생, 한국화가, 홍익대), 김동국, 최갑수, 하태진(1938~,충남 금산출생, 한국화가, 홍익대), 유봉준, 정상원, 유병창, 조성묵(1939~2016, 대전출생, 홍익대, 조각가)의 36점이 전시됐다.



이동훈(1903~1984)은 전시관람 소감에서 "연초부터 활발하게 움직이는 미술활동은 이 고장 발전에 기여되는 바가 크다"라며 "서울 각 미대에 미술을 전공하는 충남 출신 화학도(畵學徒)는 삼십여 명이나 된다 하니 이것으로 미루어 앞날의 우리 고장 충남미술 발전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위대한 작가가 나올 것을 믿어 마지않는다"라고 격려했다.

1960년대 대전미술은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된다. 미술교사 중심으로 움직였던 이전 50년대와는 달리 이들로부터 미술교육을 받고 서울의 미술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활동과 서울에서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대전에 정착한 신진작가들의 활동은 오랫동안 구상회화로 이어져 온 대전지역에 추상미술, 조각, 공예 등 다양한 미술이 펼쳐진다. 국전(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수상하는 등 그 역량이 커지며 새로운 세대로 이어지는 가교로서 대전미술은 다양한 세계를 모색해 간다.



* 지역미술조명시리즈 Ⅰ 《가교:이동훈, 이남규, 이인영, 임봉재, 이종수;》(2024.3.19.~5.20) 전시가 대전시립미술관에서 개최 중입니다. 대전미술의 시작과 모색 시기인 1950년에서 60년대 활동작가와 자료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기회니 기간 내에 관람하시길 추천합니다.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18_재경충남미술학우회전.1960.02
《재경 충남미술 학우회전》 리플렛, 1960 (이미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