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인구 순이동' 모두 증가세… 활발한 정비사업 여파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인구 순이동' 모두 증가세… 활발한 정비사업 여파

3월 전국 인구 이동 56만명 6개월만 전국적 감소
충청권 대전 0.3%, 세종 0.4%. 충남 1.2% 인구 늘어
재개발 재건축 사업 꾸준… 신축 아파트 증가 분석

  • 승인 2024-04-24 16:14
  • 신문게재 2024-04-25 2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시도별 순이동률
2024년 3월 시도별 순이동률. 사진=통계청 제공.
3월 한 달 동안 충청권으로 거주지를 옮긴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몇 년간 활발하게 진행된 정비 사업에 따른 신규 아파트 입주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대전의 경우 총전입 1만 8518명, 총전출 1만 8180명으로 순이동은 338명 늘었다. 비율로 환산하면, 0.3% 증가한 수치다. 세종도 총전입 5383명, 총전출 5258명으로 순이동이 125명 많아지면서 0.4% 늘었다.

충남은 총전입 2만 6238명, 총전출 2만 4062명으로 순이동이 2176명에 달했다. 비율로 보면 1.2% 늘면서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1.3%)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충북의 경우도 총전입 1만 7052명, 총전출 1만 6406명으로 순이동이 646명 늘어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론 인구 이동이 줄었다. 3월 전입신고서 중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이동한 사람은 56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4%(2만6000명) 감소했다. 이동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해 9월(-1.6%) 이후 6개월 만이다. 또 3월 중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3.0%로 전년동월대비 0.5%포인트 줄었다.



전국3월인구이동
2024년 3월 전국 인구 이동표. 사진=통계청 제공.
인구 이동이 줄어든 이유로는 주택 입주 시기 차이로 이동이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최근 주택 매매거래가 늘었지만, 입주 시기에 대한 차이가 반영돼 늦어졌다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학교 입학 등 영향을 받았다는 시각도 있다. 전국 주택 매매 건수는 1월 4만 3000건, 2월 4만 3000건으로 전년 대비 각각 1만 7000건, 2000건 늘었다. 대전의 경우, 1월 인구가 0.5% 감소하다가 2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됐는데, 이때 학교 입학 등에 따른 인구 이동이 늘었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선 향후 충청권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인구가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3~4년 전부터 충청권에선 정비사업이 꾸준히 추진됐고, 신축 입주 아파트가 속속 나오면서, 인구 순이동 증가 원인으로 꼽힌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대전과 충남은 수도권과 가깝고, 정비사업이 꾸준해 신축 아파트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며 "낙후됐던 원도심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어 새 아파트들이 들어서면 떠났던 이들이 다시 돌아올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3.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조길형 충주시장 "도지사 출마" 선언에 지역 민심 '싸늘'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