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다문화]베트남 전 반세오

  • 다문화신문
  • 서천

[서천다문화]베트남 전 반세오

  • 승인 2024-05-23 16:42
  • 신문게재 2024-05-24 10면
  • 나재호 기자나재호 기자
베트남을 대표하는 음식 반세오
베트남을 대표하는 음식 반세오


베트남 각 지역에는 문화와 역사 특히 다양한 음식에 대한 고유한 아름다움이 있다.



오랫동안 베트남전은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지고 많은 사람이 사랑하는 베트남 대표 음식 중 하나다.

베트남 전역과 일부 해외 식당에서도 베트남전을 찾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 베트남전이 바로 반세오다.



반세오는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이다.

지역별로 반 세오의 색깔, 크기, 속을 채우는 재료에 차이가 있고 양념장은 물론 곁들여 먹는 야채도 각기 다르다.

베트남 모든 종류의 전은 물에 희석된 쌀가루로 만든 다음 뜨거운 팬에 얇게 저민다.

베트남에서는 보통 두 가지 종류의 반세오 있는데 중부 반세오과 남부 반세오로 나뉜다.

남부 반세오는 껍질이 노란색이고 기름진 코코넛 밀크 향이 난다.

속에 새우, 고기, 녹두, 야채 등을 채워 먹는 남부 반세오는 맛있는 칠리 고추나 마늘 액젓에 찍어 먹는다.

중부 반세오는 크기가 두껍고 작으며 새우, 오징어와 같은 해산물로 속을 채운다.

맛있고 질 좋은 반세오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를 고르는 첫 번째 단계가 중요하다.

반세오를 만드는 재료는 신선해야 음식 맛을 보장할 수 있다.

반세오 재료는 쌀가루, 옥수수 가루, 강황가루, 미지근한 물, 코코넛 밀크, 달걀, 녹두나물, 새우, 대파 등으로 보통 생야채와 함께 먹는다.

전을 맛있게 만드는데 기여하는 큰 비결은 소스에 있다.

소스 재료는 마늘, 매운고추,액젓, 설탕, 소금이 들어간다.

소스는 마늘, 고추, 레몬즙을 뿌려 신맛, 매운맛, 짠맛, 단맛을 낸다.

반세오 만드는 사람은 손재주가 있어야 한다.

바삭하고 잘 익었지만 반세오가 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각종 재료가 잘 준비돼 있어야 한다.

쌀가루, 옥수수 가루, 심황가루, 따뜻한 물, 코코넛 주스, 달걀을 큰 그릇에 넣고 잘 저은 다음 간을 맞추기 위해 소금을 약간 뿌려 준다,

반죽이 뭉치지 않고 잘 섞일 때까지 계속 저으면 약간 점성이 있고 옅은 노란색의 혼합물이 된다.

반세오 속에 들어가는 새우, 잘게 다진 고기를 프라이팬에 놓고 후추와 소금을 함께 넣고 뒤집어 가며 익을 때까지 볶아준다.

완성된 반세오는 접시에 놓고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반세오는 따뜻할 때 먹어야 제 맛이 나며 쌈과 비빔 두가지 방식으로 즐길수 있다.

쌈 방식으로 먹을 때는 생야채에 반세오 올려 소스를 찍어 먹는다.

비빔은 반세오를 그릇에 담고 생야채를 잘라 소스 넣어 먹는다.

오늘날까지도 반세오는 여전히 베트남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음식이다.

반미, 쌀국수 등 유명한 음식이 있지만 반세오도 여전히 세계인들에게 많이 사랑받고 소개되는 베트남 음식중 하나다. 이가은 명예기자(베트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