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항 명칭을 서산항으로 변경해야

  • 전국
  • 서산시

대산항 명칭을 서산항으로 변경해야

조동식 서산시의원, 제294회 서산시의회 임시회 자유발언 통해 주장
지역민의 통합된 정체성 형성 통해 자긍심과 소속감 높이는데 기여
국제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서산시 홍보와 브랜드 제고 위해 꼭 필요

  • 승인 2024-05-25 23:00
  • 임붕순 기자임붕순 기자
서산 대산항 부두
서산 대산항 부두 전경


조동식 서산시의원은 24일 제294회 서산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 통해 "2024년은 서산시 홍보와 브랜드 제고 위해, 대산항 명칭 서산항으로 변경할 적기"라고 주장했다.



조동식 서산시의원은 "우리 서산시는 경제 및 인구 규모에서 충남에서 세 번째 자치단체의 위상을 갖고 있으며, 또한 우리시는 가야산과 팔봉산, 가로림만과 천수만 등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는 생태도시, 마애삼존불과 해미읍성 등 문화유적이 분포된 역사문화도시, 해미 국제성지로 선포된 종교도시 그리고 농어업과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도농복합도시로서, 이제는 충남을 넘어 세계를 바라보는 국제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위상을 갖춘 우리 서산시가 한 걸음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이 많을 것이며, 그 중에서 본 의원은 오늘, 대산항을 서산항으로 명칭을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고유한 명칭을 변경하는 과정은 매우 조심스럽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오랜 숙의와 협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대산 지역은 우리나라의 대기업이 자리한 대산공단과 함께 발전해 왔고 서산시의 경제와 산업에서 대산읍은 그 중추를 담당하고 있으며, 대산항의 기여 또한 지대(至大)함을 시민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2024년 현재, 대산항은 '국가관리무역항'으로 관리되며 컨테이너물동량은 전국 5번째 규모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또한 5월에는 국제크루즈선이 출항하기도 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국제 무역과 국내외 여객항으로서 발돋움하고자 하는 비전을 실현해나가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이 시점에서 서산항으로의 변경은 여러 당위성을 갖고 있다"며 "우선, 세계적인 항구인 LA항, 싱가포르항, 홍콩항 등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구인 부산항, 인천항 등은 국가 혹은 도시를 명명(命名)함으로서 함께 발전해 왔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러한 명칭 사용은 대내적으로는 지역민의 통합된 정체성 형성을 통해 자긍심과 소속감을 높이고, 대외적으로는 국제적인 항구의 이미지 형성과 홍보에 유리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둘째, "최근 도시의 홍보와 브랜드화를 위해 명칭 통합은 선택이 아닌 필수일 것"이라며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육쪽마늘, 서산 어리굴젓, 서산 공항 등과 통합된 브랜드 네이밍을 통해 우리 시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 제고, 국제화 등 미래 지향적인 지역 발전 전략을 위해 '서산항'으로 변경해야 할 최적의 시기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제 "우리시는 시민의 염원을 모아 충남의 3대 도시를 뛰어넘어 국제화된 도시로서 진일보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비전과 전략을 세워 차근차근 실천해나가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제가 오늘 제안드리는 '대산항을 서산항으로 명명'하는 것, 그리고 앞으로 만들어질 서산공항과 연계한 통합 브랜드 네이밍 작업은 그 당위성과 필요성이 충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우리 서산시가 역사문화도시, 생태도시, 첨단산업도시, 항구도시로서 자리매김하고, 시민들의 자긍심 제고와 정체성 통합으로 국제화된 도시를 지향해 나가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지금까지 제가 제안한 서산항으로의 명칭 변경에 대해 이완섭 시장과 담당공무원들께서는 적극 검토해 주시길 바라며, 특히 명칭 변경 과정에서 대산 지역 주민들의 의견과 요구를 잘 수렴해주시고, 이로 인해 시민이 분열되지 않도록 세심히 살피면서 추진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 드린다"고 주장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1.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2.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3.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4. 우송정보대 만화웹툰과 손길에… 공원 철제 가림막 웹툰 벽화로 변신
  5. 목원대 올해 첫 성탄목 점등…학생과 주민에게 특별한 야경 선사

헤드라인 뉴스


李 “지방 우선·우대 원칙 명확… 지역균형발전 영향평가 법제화”

李 “지방 우선·우대 원칙 명확… 지역균형발전 영향평가 법제화”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지역이 성장의 중심이 되도록 지방 우선·지방 우대 원칙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지역균형발전 영향평가 법제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정부 출범 후 대통령실에서 처음 열린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다.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정부와 지방정부가 자치 분권과 균형 발전 등과 관련된 정책을 모색하고 심의하는 제2의 국무회의로, ‘중앙지방협력회의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2년 1월 처음 시작해 9회째를 맞았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30년 동안 지방정부의 자치 역량이 많이 성장했고 주민들의 행정 참여 또한..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대전지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경찰에 붙잡혔다. 뇌물을 건넨 임대사업자도 함께 구속됐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최근 대전지역의 한 주택재개발조합에서 사업권 낙찰 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조합장 A(70대)씨와 임대 사업체 대표 B(50대)씨 등 2명을 구속하고, 브로커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대전지역 주택 재개발 조합의 임대아파트 사업권 낙찰을 위해 뇌물을 수수하거나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임대사업자 A씨는..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