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영어회화 공부하기(Let's speak English!)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영어회화 공부하기(Let's speak English!)

민순혜/수필가

  • 승인 2024-07-10 09:31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길을 걸어가다가도 어린이들이 영어 발음을 원어민처럼 하면 한 번 더 바라보게 된다. 영어 발음이 쉽지 않기에 그럴 것이다. 한번은 어린이 영어학원 앞을 지나가는데 마침 등원 소형버스가 도착했다. 나는 무심코 버스에서 내리는 아이들 옆을 지나다가 깜짝 놀랐다. 아이들의 하차를 돕는 학원 선생님도 그렇고 아이들도 영어 발음이 원어민 같아서였다. 아이들 표정도 더없이 밝았다.

아이들은 버스에서 내려 나란히 줄을 서서 나머지 원생들을 기다렸다. 모두 내리자, 아이들은 선생님의 구호로 버스 기사를 향해 고맙다고 인사한 후 줄을 서서 나란히 학원으로 향했다. 걷는 것도 신나 보였다. 나는 그 모습을 보면서 기특하면서도 여러 생각들이 스쳐 지나갔다. 저 아이들은 영어 회화를 배우는 것이 정말 즐거울까.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공부할 것이 많을 텐데, 영어 공부를 병행할 수 있을까, 우려도 되었다.



아이들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자 나는 문득 오래전 그만한 아이들에게 영어 회화를 가르쳤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 아이들은 지금쯤 대학생이 되어있을 텐데, 보고 싶다. 나는 그 당시 '해외유학원'에 근무하고 있어서 미국을 자주 다닐 때였다. 미국 유학을 앞둔 학생이 미대사관에서 유학 비자를 받을 때 필요한 영어 인터뷰를 연습시키는 것을 본 지인의 부탁으로 4~5세 어린이 그룹과외를 하게 되었다. 한 팀이 대개 5~6명 정도였는데 아이들 엄마는 뒤에서 구경했다. 아니, 구경이라기 보다도 감시하는 것 같았다. 내가 잘 가르치는지.

나는 물론 아무래도 좋았다. 매주 한 번이었지만,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예뻐서 정말 진심을 다해서 가르쳤다. 미국에서 본 대로 유치원에서 하는 것을 벤치마킹했다. 단어 읽기는 미국에서 가져온 원본으로 갖은 액션을 취하면서 가르쳤으니, 아이들이 마냥 신기해했다. 그런데 영어뿐만 아니라 아이들은 매사에 적극적이 되어간다며 주중 2번 해달라고 했지만 시간상 할 수 없었다. 한번은 한아이의 엄마랑 대화 중에 그 엄마가 말했다. "남편은 선생님이 굉장히 예쁜지 알아요." "네?" "우리 애가 남편이 퇴근 후 집에 오기만 하면 영어 선생님 얘기를 하며 예쁘다고 말해서요." 나 참, 그럼 내가 이쁘지 않다는 건가. 사실 기분이 언짢을 수도 있는 말이기는 한데 기분이 좋았다.



그 즈음은 유학원 일로 일 년에 최소 봄, 가을 두 번 미국에 가면 대개 한 달 이상 있어야 해서 그룹과외를 얼마 못했지만, 늘 즐거웠던 기억으로 남아있다. 아이들은 그 후로도 영어회화 과외는 계속했지만 적응을 못한다고 그 엄마들한테서 연락을 받기도 했다.

외국어를 꼭 배워야 할까. 이 말은 외국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한테서 종종 듣는 말이다. 외국어는 필요에 의해서 배울 테니까 말이다. 사실 외국어 공부는 굳이 여행만을 위해서가 아니고 외국 서적을 읽으려면 글자를 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은 필수이다. 시야가 넓을수록 행복의 지수도 높아진다고 들은 적이 있다. 많이 알수록 시야도 그만큼 넓어져서일 것이다. 금쪽같은 시간을 내어 외국 여행을 갔다고 해도 그 나라 언어를 한마디도 알아들을 수 없다면 그림만 보고 오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래서다. 다만 외국어 중에 영어를 우선시하는 것은 대부분 국가가 공공시설에 세계 공용어인 영어로 표기를 해놓아서다.

유학원에 근무할 때는 매년 방학마다 초·중·고 학생들을 인솔해서 미국 LA에서 어학연수를 진행했었다. 나는 주로 국내에 있으면서 현지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것을 서포트해 주었다. 출입국 때마다 팀을 인솔, 공항으로 가서 배웅해 주곤 했는데 출국할 때와 입국할 때 학생들의 표정이 확연히 달랐다. 출국할 때는 단지 여행 간다는 분위기였다면, 입국할 때는 뭔가 대단한 일을 하고 온 것처럼 어깨를 으쓱하며 표정 또한 씩씩해 보였던 것도 잊히지 않는 것 중 하나이다.

귀국하고 거의 한 달 정도는 미국 생활을 못 잊고 그리워한다고 하니 그것만 해도 굉장한 소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곤 했다. 실제 공부를 열심히 해서 조기 유학을 가는 학생도 종종 있었다.

실은 나도 요즘 "영어회화 공부하기(Let's speak English!)"에 전력을 쏟고 있다. 미국 여행은 '코로나19' 국내 발생하기 바로 전에 갔다 온 후로 영어는 단 한마디도 말할 기회가 없다 보니 내가 언제 영어로 거침없이 말했는지 생각조차도 잊을 정도이다. 맥락은 다르지만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는 책의 제목처럼 틈이 날 때마다 영어 단어를 찾아 더듬거리며 옛 기억을 떠올려 보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프리토킹(Free Talking)이 가능할까.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수필가
민순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