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물과 같은 세상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물과 같은 세상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7-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대한민국 헌법 제11조 1항은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이다. 자유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권리나 의무, 신분 따위가 차별 없이 고르고 한결같아야 한다는 조문이다. 우리 모두 평등을 지향하지만, 공평하지 않을뿐더러 완전한 평등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차이나 다름도 인정해야 되기 때문이다.

사람이 추구하는 권력, 부, 명예의 크기에 따라 자기도 모르게 특정 계층으로 분류된다. 정체성이나 특성에 따른 것이 아니라 강약, 우열로 가린다. 가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적대시한다. 어느 한 쪽 편이 되고 다른 한쪽은 배척한다. 그런 대립과 갈등을 조장하고 부추기는 무리도 있다. 상호존중이란 시대적 흐름이 붕괴된다.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향 중 하나는 존중과 배려를 통한 조화로움이다. 우열이나 대립이 아닌, 어울림, 조화인 것이다.



세상에 널리 회자된 노자의 말을 다시 한 번 들춰보자. 도덕경 8장에 나오는 말이다.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물은 온갖 것을 잘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살 때는 물처럼 땅을 좋게 하고, 마음을 쓸 때는 물처럼 그윽함을 좋게 하고, 사람을 사귈 때는 물처럼 어짊을 좋게 하고, 말할 때는 물처럼 믿음을 좋게 하고, 다스릴 때는 물처럼 바르게 하고, 일할 때는 물처럼 능하게 하고, 움직일 때는 물처럼 때를 좋게 하라. 그저 오로지 다투지 아니하니 허물이 없다.(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물은 낮은 곳, 빈곳으로 흐른다. 다툼과 해함 없이 세상과 사람에게 이로움을 준다. 뿐인가? 웅덩이가 있으면 반드시 채우고 지나간다(盈科後進). 《맹자(孟子)》〈이루 하(?婁下)〉와 〈진심 상(盡心上)〉에 나오는 말로, 소홀하거나 건너뛰지 않는다는 의미다. 점진적으로 부단히 나아간다. 또한, 서로 만나면 부둥켜 않는다. 제 몸 던져 희석되어 새로운 하나로 재탄생한다. 때로는 거센 물살이 밀어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얕은 곳으로 함께 임한다.



사회현상 또한 물과 같다. 다만, 바라보는 시점이 다른데서 오는 시각차가 존재한다. 이에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예컨대, 부자와 빈자가 서로의 적인가? 삶에 대한 철학, 임하는 자세가 다를 뿐이다. 아무도 빈부 선택을 강요하지 않는다. 적도 아니다. 오히려 부자는 가난의 스승이요 미래다. 어느 날 도달할 수 있는 꿈이자 준비과정인 것이다. 부자가 적으로 보이는 순간 영원히 가난하자는 멍에가 된다. 영구히 빈자로 살겠다는 선언이다. 가붕개(붕어, 개구리, 가재)로 살아도 행복한 세상을 만들자 주장한 사람이 있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사탕발림에 불과하다. 자신은 가붕개가 아니란 의미가 담겨있다. 당신은 변함없이 가붕개로 살라는 저주로 들린다. 개천에서 용이 나오면 안 되는가? 궤변이거나 갈라치기일 뿐이다. 오늘날 세계적 갑부 대부분은 역경을 딛고 일어선 사람들이다. 설령 어렵더라도 길 터주는 게 우선이지, 변화에 대한 욕구마저 차단해서야 되겠는가? 그것은 물과 같은 자연의 순리를 가로막는 일이다.

문화예술도 마찬가지다. 우열은 없다. 다름, 정체성과 완성도가 있을 뿐이다. 조선 영정조시대 선비문화라 할 창작활동에 중인이나 평민들이 대거 참여한다. 그것이 잘못된 일인가? 선비문화이기 때문에 배척해야 하는가? 그런 주장이나 비판이 옳은 것인가? 더구나 고저개념에 의해 선비문화가 고급문화라면, 중인과 평민은 변함없이 저급문화 수준에 머물러야 하는가? 저급문화로 만족하며 살아야 하는가? 어떠한 문화예술이든 누구나 즐길 권한과 자유가 있다. 편협한 의도로 왜곡시키거나 차단하지 말자. 부족한 곳, 빈곳으로 흘러가는 것은 퍽 자연스런 일이다. 물론, 근원이 약해 흘러가지 못하고 사라질 수 있다. 비호감이란 장애물에 막힐 수도 있다. 그 또한 자연이다.

물이라고 그저 흘러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승천의 꿈이 있다. 하늘 높이 올라야 완벽한 순환이 이루어진다. 우리에게도 이상이 있다. 때문에 두려워하면서도 부단히 변화를 추구한다. 공감 가는 새로운 것에 매료된다.

세상엔 꿈이 있어야한다. 더 많은 사람이 꿈꾸게 하고, 그 꿈이 이루어지도록 길 터주는 것이 국가시스템과 정치의 역할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1.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