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與野, '0시 축제' 놓고 신경전… "대박 희망 vs 투명성 확보해야"

  • 정치/행정
  • 대전

대전 與野, '0시 축제' 놓고 신경전… "대박 희망 vs 투명성 확보해야"

국민의힘 "성공적 행정사례, 이번에도 성공하길"
더불어민주당 "예산 축소 의혹, 신뢰 회복 먼저"

  • 승인 2024-08-07 17:00
  • 수정 2024-11-14 11:22
  • 신문게재 2024-08-08 4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allalalal
[출처=중도일보 DB]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이 9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대전 0시 축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0시 축제가 성공적 행정사례라고 추켜세우며 전국적인 축제로 발돋움하길 기원한 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축제 예산의 축소·은폐 의혹을 제기하며 정확한 정보 공개와 투명성 확보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7일 민인근 대변인 명의의 '0시 축제 대박을 희망한다'는 논평을 냈다. 시당은 논평에서 "0시 축제는 1993년 대전엑스포 이래 단일행사로 최대 방문객이 110만, 이 중 대전 이외 지역 사람이 70% 이상을 차지한 성공적 행정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화공연부터 다양한 먹거리까지 풍성한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다"며 "이장우 대전시장은 옛 대전부청사에 현장 집무실을 차리고 축제 현장에서 진두지휘에 나선다. 국민의힘도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회가 시민에게 골고루 돌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고, 안전사고 없는 전국적 축제가 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0시 축제 예산을 당당하게 공개하라'는 내용의 논평을 발표했다. 시당은 "화려한 축제 뒤에는 투명하지 않은 예산 운영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며 "대전시가 축제 예산을 축소하거나 숨기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시당은 "올해 0시 축제 예산으로 29억 원을 편성했지만, 추경예산을 통해 13억 원이 많은 42억 원으로 증액했다"며 "하지만 42억 원 예산에는 연계 행사 경비 등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집행 예산은 올해에도 100억 원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전시는 예산을 축소하거나 숨기지 말고 떳떳하고 당당하게 0시 축제 예산을 공개하기 바란다"며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고 예산집행에 대한 투명성 확보를 통해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3.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1.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4.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5.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