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은 무더위를 어떻게 버텼을까?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은 무더위를 어떻게 버텼을까?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08-13 13:31
  • 수정 2024-08-13 13:3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삼복더위가 찾아왔다. 폭염주의보 안내 문자가 잦아진 요즘이다. 사계절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아프리카 못지않게 온도가 높고, 동남아시아 못지않게 습하다. 에어컨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어떤 방식으로 삼복더위를 이겨냈을까?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으로 인해 자신의 신체를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반팔과 반바지는 생각조차 못했던 시대다. 선조들이 여름에 즐겨 입었던 여름 의복으로는 삼베와 모시가 있다. (그림 1). 시원하고 바람이 잘 통해 땀이 나도 몸에 달라붙지 않는다. 질겨서 찢겨지는 일도 드물었기에 노동을 하는 서민들에게는 제격이었다. 반면 양반이나 왕실에서는 여름에도 비단옷을 입었다. 그들은 일반 서민들처럼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에 고급 원단인 비단을 착용한 것이다. 신분사회인 조선은 여름을 나는 법에서도 차이가 난다.

1
(그림 1) <모시적삼>, 안동시립민속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복날의 세시풍속으로는 탁족(濯足)과 빙표(氷票)가 있다. 탁족은 '발을 씻는다'라는 의미로,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그고 더위를 잊는 조선시대 피서법이다. 우리가 열을 식히기 위해 시원한 바다와 계곡을 찾아가는 것처럼 선조들은 탁족을 하러 강과 계곡을 찾았다. (그림 2). 빙표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인 장빙고(藏氷庫)에서 얼음을 탈 수 있는 표를 뜻한다. 빙표는 궁중에서 벼슬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하사한 것으로, 서민들은 구할 수 없었다. 냉동고가 없던 조선시대의 얼음은 그 무엇보다 귀했고, 신분이 높았던 선조들은 얼음을 활용하여 여름을 보냈다.

2
(그림 2) 조영석(趙榮?, 1686~1761), <노승탁족도(老僧濯足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선조들의 피서법뿐만 아니라 더위를 이겨내는 방법은 현대와 비슷하다. 열은 열로 다스린다는 이열치열(以熱治熱) 방법으로는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을 먹었다. 선조들은 현재의 이온음료 격인 제호탕(醍瑚湯)과 생맥산(生脈散)은 몸의 열기를 내리는데 탁월했다. 제호탕은 매실차로 왕실에서 선호하던 음료였다.



여름에 숭늉처럼 마셨던 오미자 음료인 생맥산은 『조선왕조실록』에 20번, 『승정원일기』에는 871번 등장한다. 『조선왕조실록』선조 29년 5월 16일(1596) 기사에서는 '선조가 임진왜란 중 고생하는 대신에게 여름 옷감과 노자로 쓸 은자(銀子) 몇 냥과 함께 생맥산을 하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생맥산의 효능이 기록되어 있다. 생맥산은 여름에 차로 마시는데 복약에 구애받지 않고 복용한다. 한방음료인 생맥산은 인삼, 맥문동뿌리, 오미자를 1:2:1 비율로 달인 뒤 물처럼 마셨다. 생맥산은 '맥이 살아나게 하는 약'이라고 불린 만큼 무더운 여름에 제격이었을 것이다.

여름철 보양 음료인 생맥산은 조선 21대 왕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도 즐겨 마셨다. 영조와 생맥산에 대한 재미난 일화를 소개한다. 『조선왕조실록』 영조 12년(1736) 4월 24일 기사에는 신하 조명겸이 집권 기간 내내 금주령을 내린 영조에게 '술을 몰래 드시냐'는 질문을 하게 되면서 '생맥산'이 언급된다. "항간에 전해지는 말을 들으니, 성상께서 술을 끊을 수 없다고들 합니다. 허실을 알 수는 없지만 조심하고 염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라 하니, 영조는 "내가 목이 마를 때에 간혹 오미자차를 마시는데, 남들이 간혹 술인 줄 의심해서이다."라고 답하였다. 영조가 술을 생맥산으로 위장하여 마셨는지, 생맥산을 섭취했는지는 본인만 알 것이다.

폭염으로 부터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욕구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그날을 고대해 본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람내음] 19살부터 30년 간 동네 치안 파수꾼… 유성철 태평1동 자율방범대장
  2. '국립세종수목원', 한국관광 100선...세종시 효자 관광지
  3. 세종북부서, 설 명절 맞아 대규모 합동 순찰
  4.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5. 건양대-(사)한국창업기업가협회, 초광역 청년창업지원체계 구축 MOU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3. 충남 석유화학산업 위기… 충남도, 올 상반기 대응계획 수립
  4. 대전변호사회 신임 회장에 최진영 변호사 선출
  5. [사이언스칼럼] 특별한 빛, 레이저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교육시설의 자동소화장치(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된 가운데 대전교육청이 관리하는 유치원의 화재 안전 대책은 허술한 실정이다. 대전교육청은 사립유치원의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어 화재 위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3일 대전교육청 등에 따르면 대전 국공립유치원 92곳 중 31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다. 지역 사립유치원은 대전교육청의 관리·감독하에 운영되고 있지만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 대상엔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21일 교육부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서해선 복선전철-경부고속철도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조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충남도는 23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에서 서해선 KTX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은 했지만, 일부 경기도 서화성 이후 단절된 구간을 서울역과 용산역까지 잇는 대안으로 철도 연결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이다. 노선은 경기 평택 청북 서해선에서 화성 향남 경부고속선까지 상하행 7.35㎞로, 총 투입 사업비는 2031년까지 7299억 원이다. 이번 예타에서 서해선 KTX..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에서 3800여 세대가 집들이를 예고했다. 전국적으로는 2만여 세대가 입주에 나선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7개 단지, 2만 1404세대로 전월(3만 3723세대)보다 크게 줄었다. 특히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2024년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전체의 66%에 해당하는 물량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충청권은 3870세대가 입주를 예고했는데, 이는 전국 물량의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