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은 무더위를 어떻게 버텼을까?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은 무더위를 어떻게 버텼을까?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08-13 13:31
  • 수정 2024-08-13 13:3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삼복더위가 찾아왔다. 폭염주의보 안내 문자가 잦아진 요즘이다. 사계절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아프리카 못지않게 온도가 높고, 동남아시아 못지않게 습하다. 에어컨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어떤 방식으로 삼복더위를 이겨냈을까?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으로 인해 자신의 신체를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반팔과 반바지는 생각조차 못했던 시대다. 선조들이 여름에 즐겨 입었던 여름 의복으로는 삼베와 모시가 있다. (그림 1). 시원하고 바람이 잘 통해 땀이 나도 몸에 달라붙지 않는다. 질겨서 찢겨지는 일도 드물었기에 노동을 하는 서민들에게는 제격이었다. 반면 양반이나 왕실에서는 여름에도 비단옷을 입었다. 그들은 일반 서민들처럼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에 고급 원단인 비단을 착용한 것이다. 신분사회인 조선은 여름을 나는 법에서도 차이가 난다.

1
(그림 1) <모시적삼>, 안동시립민속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복날의 세시풍속으로는 탁족(濯足)과 빙표(氷票)가 있다. 탁족은 '발을 씻는다'라는 의미로,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그고 더위를 잊는 조선시대 피서법이다. 우리가 열을 식히기 위해 시원한 바다와 계곡을 찾아가는 것처럼 선조들은 탁족을 하러 강과 계곡을 찾았다. (그림 2). 빙표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인 장빙고(藏氷庫)에서 얼음을 탈 수 있는 표를 뜻한다. 빙표는 궁중에서 벼슬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하사한 것으로, 서민들은 구할 수 없었다. 냉동고가 없던 조선시대의 얼음은 그 무엇보다 귀했고, 신분이 높았던 선조들은 얼음을 활용하여 여름을 보냈다.

2
(그림 2) 조영석(趙榮?, 1686~1761), <노승탁족도(老僧濯足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선조들의 피서법뿐만 아니라 더위를 이겨내는 방법은 현대와 비슷하다. 열은 열로 다스린다는 이열치열(以熱治熱) 방법으로는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을 먹었다. 선조들은 현재의 이온음료 격인 제호탕(醍瑚湯)과 생맥산(生脈散)은 몸의 열기를 내리는데 탁월했다. 제호탕은 매실차로 왕실에서 선호하던 음료였다.



여름에 숭늉처럼 마셨던 오미자 음료인 생맥산은 『조선왕조실록』에 20번, 『승정원일기』에는 871번 등장한다. 『조선왕조실록』선조 29년 5월 16일(1596) 기사에서는 '선조가 임진왜란 중 고생하는 대신에게 여름 옷감과 노자로 쓸 은자(銀子) 몇 냥과 함께 생맥산을 하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생맥산의 효능이 기록되어 있다. 생맥산은 여름에 차로 마시는데 복약에 구애받지 않고 복용한다. 한방음료인 생맥산은 인삼, 맥문동뿌리, 오미자를 1:2:1 비율로 달인 뒤 물처럼 마셨다. 생맥산은 '맥이 살아나게 하는 약'이라고 불린 만큼 무더운 여름에 제격이었을 것이다.

여름철 보양 음료인 생맥산은 조선 21대 왕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도 즐겨 마셨다. 영조와 생맥산에 대한 재미난 일화를 소개한다. 『조선왕조실록』 영조 12년(1736) 4월 24일 기사에는 신하 조명겸이 집권 기간 내내 금주령을 내린 영조에게 '술을 몰래 드시냐'는 질문을 하게 되면서 '생맥산'이 언급된다. "항간에 전해지는 말을 들으니, 성상께서 술을 끊을 수 없다고들 합니다. 허실을 알 수는 없지만 조심하고 염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라 하니, 영조는 "내가 목이 마를 때에 간혹 오미자차를 마시는데, 남들이 간혹 술인 줄 의심해서이다."라고 답하였다. 영조가 술을 생맥산으로 위장하여 마셨는지, 생맥산을 섭취했는지는 본인만 알 것이다.

폭염으로 부터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욕구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그날을 고대해 본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2.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3.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4.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5.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1.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2.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3.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4.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헤드라인 뉴스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속보>교정시설에서 수용자의 폭력이나 자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금속보호대가 대전교도소에서 1년간 122차례 사용되고 한 번 사용되면 평균 3시간 50분간 수용자에게 착용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금속보호대를 이용해 6시간 이상 수용자를 결박한 사례도 16차례 있었는데 사후 전자기록을 남겨놓지 않거나 부실작성 등 보호장비 사용에 대한 문제가 추가로 확인됐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대전교도소장에게 발송한 직권조사 결정서를 분석한 결과 폭력이나 자해 위험 수용자를 관리할 목적의 여러 보호대 중 결박 강도에 따라 통증이 뒤따르는..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새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RISE 재구조화, AI 인공지능 활용 등 교육 분야 주요 국정과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학문별 대가로 선정된 교수에 대한 정년 제한을 풀고, 최고 수준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 학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교육부는 6대 국정과제를 위한 25개 실천과제(공동주관 1개 국정과제, 3개 실천과제 포함)를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실현해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에 나선다. 학생 1인당 교육비를..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이재명 새 정부가 오는 12월 30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청사 개청식을 예고하면서,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를 위한 동반 플랜 마련을 요구받고 있다. 수년 간 인구 정체와 지역 경제 침체의 늪에 빠진 세종시에 전환점을 가져오고, 정부부처 업무 효율화와 국가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한 후속 대책이 중요해졌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에 따른 산술적 대응은 당장 성평등가족부(280여 명)와 법무부(787명)의 세종시 이전으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 셈법으로 빠져 나가는 공직자를 비슷한 규모로 채워주는 방법이다. 지난 2월 민주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