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기름값 두 달 연속 인하세... 추석 전까지 하락 전망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충청권 기름값 두 달 연속 인하세... 추석 전까지 하락 전망

대전 휘발유 8일 기준 1623원, 세종 1646원, 충남 1659원
일부 주유소는 1500원대 후반에 가격 형성하며 저렴해져
경유는 대전 1478원, 세종 1484원, 충남 1494원으로 하락
국제유가 하락, 유류세 인하 연장에 영향 추석까지 내릴 듯

  • 승인 2024-09-09 16:40
  • 신문게재 2024-09-10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ㅇㅇ
충청권 기름값이 두 달 연속 인하세를 거듭하고 있다. 국제유가 하락 요인에 따라 추석 명절까지 가격은 지속적으로 내릴 전망이다.

9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 휘발유와 경유 모두 7월 중순부터 가격 인하가 계속되고 있다. 우선 대전의 휘발유 가격은 8일 기준 리터당 평균 1623원으로, 한 달 전(1691원)보다 68원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도 이 기간 1700원에서 1646원으로 54원, 충남은 1705원에서 1659원으로 46원 각각 인하됐다.



지역 모두 7월 중순을 기점으로 두 달 가까이 하락하고 있다. 대전은 7월 15일 1721원으로 올해 들어 최고가를 찍은 이후 현재까지 내려가고 있다. 세종도 7월 19일 1716원에서, 충남도 같은 날 1713원에서 각각 내림세를 거듭 중이다. 일부 지역에선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1500원대 후반에도 가격을 내걸고 있다.

경유 가격도 저렴해지고 있다. 대전의 경유 가격은 8일 기준 리터당 평균 1478원으로, 한 달 전(1539원)보다 61원 싸졌다. 같은 기간 세종도 1539원에서 1484원으로 55원, 충남은 1542원에서 1494원으로 48원 각각 인하했다. 경유도 휘발유와 마찬가지로 7월 중순부터 점차 가격이 인하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대전은 7월 15일 1567원, 세종은 7월 20일 1550원, 충남은 7월 22일 1549원이었다. 현재와 비교하면 대전은 83원, 세종은 66원, 충남은 55원 내려간 상태다.



휘발유와 경유가 인하가 지속하는 데는 정부의 유류세 탄력세율 인하 조치 연장과 국제유가 하락 등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정부는 8월 말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탄력세율 인하 조치를 10월 31일까지 연장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휘발유는 리터당 164원, 경유는 리터당 174원의 가격 인하 효과가 각각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국제유가 하락도 가격 영향을 끼쳤다. 휘발유(92RON) 국제가는 6일 기준 배럴당 76.37달러로, 7월 중순 90달러 위를 웃돌다 인하를 거듭하며 저렴해지고 있다. 경유(0.001%) 국제가도 6일 기준 배럴당 84.75달러로, 한때 100달러 이상을 호가하다 가격이 내려가면서 국내 주유소 가격 인하로 이어졌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

정유 업계는 이달 중순 명절까지 가격 인하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국제유가가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예견되면서 추석까지 가격이 점진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